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바다의 짠물이 만들어진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극지연구소가 남극 바다에서 짠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밝혔어요. 지난 1월 18일, 극지연구소 이원상 책임연구원은 국제 공동연구팀과 함께 약 1년간 남극 빙하가 녹았다 어는 과정을 관찰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전했습니다. 남극 해안가 근처 바다는 계절에 따라 얼었다 녹기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12월 미국 UC버클리대학교 연구팀은 스티브가 오로라와는 전혀 다른 원인으로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지구 상공 60~1000km에 해당하는 전리층에서 스티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했습니다. 전리층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강력한 방사선 때문에 지구 대기를 이루고 ... ...
- [전지적 독자 시점] “머지않을 미래에 실현될 것만 같은 기대감이 있어요”_김순용 독자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만드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도 많아진 듯 해요. 그런 의미에서 인공지능의 숨겨진 면을 다루는 딥페이크 잡는 AI 기사가 제일 기대되네요! 김시호_총선에 나선 과학자들 선택대전 대덕연구단지에 살아서 그런지 확실히 R&D 예산 삭감의 타격이 크다는 걸 느껴요. 과학자들의 정치 참여가 중요해 ... ...
- [기획] 크게, 더 크게 풍선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안녕! 난 햄스터야. 풍선껌을 부느라 볼이 빵빵해진 거 보이니? 풍선껌에 숨은 과학 원리를 알면 풍선껌을 훨씬 크게 불 수 있어. 나와 함께 풍선껌을 더 재밌게 부는 법을 알아 보자. ...
- [JOB터뷰] 다친 문화재, 진단부터 치료까지....이태종 문화재보존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어렵습니다. 지광국사탑을 복원할 때, 일제강점기 시절 남은 흑백 사진과 도면을 최대한 참고했어요. 전국을 뒤져서 탑에 쓰인 석재와 비슷한 돌을 찾고, 세세하게 다듬었죠. 이후엔 표면에 묻은 오염물을 없애고, 군데군데 균열로 빈 부분은 주사기로 접착제를 채워 넣었어요. ... ...
- 사라진 ‘6시간’은 어디에 모였을까?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년을 365일로 헤아린 채 4년이 지나면, 1년에 들지 못했던 6시간이 총 4번 생겨요. 6시간을 4번 더하면 총 24시간, 하루가 되지요. 이렇게 4년마다 만들어진 하루가 바로 윤년 2월 29일이 돼요. 2월 29일은 2016년, 2020년, 2024년, …처럼 연도의 숫자가 4의 배수★인해에만 있답니다!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진은 발생 즉시 넓은 범위에 큰 피해를 주는 무시무시한 자연재해다. 그러나 지진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특정한 소 ... 고주파를 모두 설명해냈다. 이 모형을 이용하면 단층의 기하학적 구조를 이용해 지진 위험이 있는 고주파가 무엇인지 예측할 수 있다 ...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수학동아 l2024년 04호
- I)는 υ의 감염률로 이웃한 건강한 개체(S)를 감염시키거나, δ의 회복률로 면역력을 가진 건강한 상태(R)가 된다. R 상태의 개체는 더는 감염되지도 않고 다른 개체를 전염시킬 수도 없다. 따라서 시간이 충분히 흐른 뒤에는 감염된 개체는 사라지고 건강한 개체인 S 또는 R만 남는다. SIR 모형은 ...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있다. 2020년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와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등으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은 전염병 모형 중 하나인 ‘SIS 모형’을 활용해 새로운 선거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이 모형에서 전체 인구는 전염병에 걸리지 않은 취약군(S)과 전염병에 걸린 감염군(I)으로 나뉘며, 감염군(I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nine)’는 영어 속담이 있다. 적당한 시기의 실천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건강한 췌도를 가진 지금부터 혈당을 관리하는 것이 앞으로 당뇨병과 합병증 등의 질병을 막아줄 수 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말한다. 관리가 필요한 시기는 바로 지금부터라고. 앞으로 살아갈 날이 많은 우리이기 때문이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