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모일 수 있게 만든 환경”을 망갈리안의 성공요인으로 꼽은 최 실장의 답변은 새겨봄직하다. 정부는 6년 후인 2020년 달 탐사선을 보내겠다는 청사진을 그렸다. ‘안 되면 되게 하라’보다는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이 더 필요할 때다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란 별명도 그래서 붙었 다. 왜 이런 기이한 행동을 할까. 어른 개미가 딱딱한 먹이를 직 접 소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애벌레는 어른 개미를 위해 먹 이를 갈아주는 일종의 '믹서기'인 셈이다. 피셔는 이 개미를 찾기 위해 길도 없는 마다가스카르의 밀 림을 헤맸다. 진흙구덩이에 빠진 차를 빼내고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됐다. 눈두덩은 두텁고, 따라서 부리부리하다. 그러나 현생인류와 비교해서는 두뇌가 아 직 3분의 2정도의 크기로, 얼굴은 여전히 지금보다는 큰 느낌을 준다. 호모 에렉투스의 가장 유명한 화석은 아프리카에서 발견되지만, 아시아에도 많 다. 그렇다면 지역별로 과연 얼굴이 달랐을지 궁금함이 ... ...
- PART3 - 한반도 재난 해결할 토종 군집로봇 9마리해파리퇴치 로봇내년 마산만 누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시대적 추세다. 현재 국내 기술 수준은 미국이나 유럽에 많이 뒤쳐지지만, 공 박사는 직접 개발한 드론 수십 대가 우리 생활속에서 빛을 발 하는 날이 올 거라고 믿는다.“대형재난이 일어났을 때 바다 위나 험한 산처럼 구 조팀을 급파하기 어려운 곳은 큰 헬리콥터 한 대보다 작 은 드론 수십 대가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홍도원추리’ ‘골잎원추 리’도 구분했습니다. 우리 야생화를 모두 아는 길은, 아 직 험난한 것 같습니다.드라마 대장금의 큰 줄기는 장금이 수많은 역경을 딛 고 성공하는 이야기입니다. 장금이 궁에서 생활하는 동 안, 누군가를 살해하려는 음모가 끊임없이 벌어지지요. 그래서인지 예부터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미지근하게 변한다. 이 때문에 다리가 고 안됐다. 다리 부분을 잡으면 체온이 컵에 직접 닿는 일이 없다.한 가지 더 팁. 맥주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와인글라스에 맥주를 담아 먹어보자. 맥주 고유의 색을 보면서, 온도도 크게 변하지 않고, 향도 붙잡으며 마실 수 있다. 제조사별로 나온 전용잔이 ... ...
- 김주황의 악당예찬2 -바이오닉 암보다 접합부가 문제 윈터솔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고정해 줄 것 같다. 공돌이인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도 한 기술 보태면 어떨까. 움직이는 갑옷을 만든 만큼 바이오닉 암을 보완하는 정도는 껌이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슈퍼 악당 테크놀로지] INTRO 매력적인 악당이 대세김주황의 악당예찬1 - 배터리가 된 인간 일렉트로김주황의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메가바이트, 기가바이트는 알아도 테라바이트, 페타바이트, 엑사바이트를 넘어 제타바이트란 단어를 처음 들어본 친구는 주목하자. 어마어마하게 큰 정보량을 의미하는 엑사(10$ ... 아니라 관심 분야가 다양해야 하구요. 수학, 통계, 컴퓨터를 좋아한다면 꼭 도전해 볼 만한 직업이에요 ... ...
- 김주황의 악당예찬6 - 창 하나로 세뇌시킬 수 있을까 로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거부감이 들지 않 으려면 기억이나 감정 부위도 손봐야 한다.사람에게 세뇌 기술을 직접 쓰긴 어렵겠지만 현실에 서는 다른 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서가 사라진 범 죄 현장을 재구성하거나, 우울증이나 트라우마에 힘들 어 하는 사람을 치료하는 데 ‘뇌를 조종하는’ 기술을 쓸 수 있는 것이다 ...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전공하면 보통 원자력 관련 연구소나 전력기업에 진출해, 원자력 발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일을 한다. 그러나 단지 그것뿐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 원자핵공학과에서 다루는 분야는 발전 이외에도 많다.대표적인 것이 플라스마 분야다. 주 교수는 “원자핵공학에서 다루는 플라스마는 핵융합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