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면"(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궁화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뜻을 가진 꽃이에요. 매일 새로운 꽃을 피우기 때문이죠. 해가 뜰 때 꽃이 피어나고, 해가 지면 같이 꽃이 지기 때문에 ‘태양의 꽃’이라는 별명도 있습니다. 무궁화의 중심에 태양과 닮은 무늬가 있어서 이처럼 불리기도 해요. 무궁화 중앙에 일렁이는 태양 빛과 같은 붉은 무늬를 ‘단심’이라고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그리고 음전하가 쌓여 무거워지면, 서서히 구름 아래쪽으로 내려갑니다. 이 음전하는 지면의 양전하와 만나 순간적으로 전류가 이동하면서 빛을 내는데, 이러한 방전이 바로 벼락이지요. 지난달 10일, 강원도 양양군 설악해변에 있던 관광객들이 벼락으로 피해를 보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벼락이 ... ...
- [DAY2 홍콩 과학기술대학교] 바람을 가르고 바람보다 빠르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빠르게 회전하면 주변에 있던 물이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물의 속도가 빨라지면 프로펠러 주변의 압력은 낮아져요. 압력이 점점 낮아지다 보면 프로펠러 주변의 물이 수증기로 바뀌며 공기 방울이 생깁니다. 이렇게 프로펠러 주위에 생긴 공기 방울은 프로펠러와 부딪히며 큰 소음을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독자기고’ 코너는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올라온 독자 여러분의 이야기를 지면에 소개하는 창이 될 예정입니다. 혼자 알고 말기엔 아까운 이야깃거리가 있다면 언제든,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공유해주세요!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인류 하나라면 괜히 쓸쓸한 기분이 드는 것처럼,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불확실한 초신성 거리 측정법을 보정(calibration)하는 셈이다. 이런 사전 작업이 함께 이뤄지면, 초신성 폭발만 겨우 관측되는 아주 먼 은하까지의 거리도 좀 더 안전하게 유추할 수 있다. 이처럼 비교적 가까운 우주에서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방법을 그보다 좀 더 먼 우주까지의 거리를 잴 때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최적의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죠. 하지만 앞서 언급한 사례처럼 관리 대상이 많아지면 부담이 급증합니다. 더욱이 정보가 집중된 중앙시스템의 안정이 전체 시스템의 안정과 직결되므로, 제어의 부담이 큰 상태에서 높은 신뢰도까지 달성해야합니다. 매우 까다로운 조건이죠. 관제탑 사례에서 ... ...
- [SF] 속도의 맛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엔진 조작 스위치를 모두 올리고 엑셀을 풀로 밟았다. 제트엔진 2기의 노즐이 활짝 벌어지면서 최대출력으로 불을 뿜었다. 어마어마한 가속도가 삼삼칠을 뒤로 밀어붙였다. 그대로 운전석 의자에 파묻혀 들어갈 것 같았다. 주변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정면 가운데 부분으로 삼삼칠의 시야가 좁아졌다.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금까진 재진입이 적어 괜찮았을지라도, 성층권에 (금속 에어로졸) 입자가 아주 많아지면 지구로 들어오는 빛 투과도 달라질 수 있다”며 “충분히 검토해 봐야 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상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역시 “잔해물들에서 나오는 극미세 입자들은 지구복사수지에 영향을 ... ...
- 킬 스위치로 박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후 킬 스위치를 갖고 있는 수컷 모기가 야생에서 암컷을 만나 짝짓기를 해 알이 만들어지면, 이 알은 모두 킬 스위치를 물려받습니다. 알 중 암컷은 킬 스위치가 필수 유전자의 발현을 방해해 결국 어른인 성충이 되기 전에 죽어요. 이렇게 암컷 모기의 수가 줄어들다 보면, 자손의 수도 줄어 결국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모형을 끌어봤어요. 철사 모형을 들어서 옮길 때와는 다르게, 땅에 붙인 채로 옮기면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 때문에 철사 모형이 좌우로 흔들리며 이동했죠. 그 덕분에 연구팀은 물체를 들어 옮길 때 드는 힘의 20% 정도만 쓰고도 물체를 옮길 수 있다는 걸 확인했습니다. 서정원 교수는 “이 방법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