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추"(으)로 총 5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드는 것이다.폭이 수십μm면 신경세포 하나의 크기와 비슷하다. 신경전극을 뇌 등 중추신경이나 팔다리 등 신체 말단에 존재하는 말초신경에 직접 심어 개별 신경세포의 신호를 확인해 처리하는 게 목표다. 현재 김 교수팀은 이런 마이크로 바늘 신경전극을 개발했다. 또한 전극이 체내 이물질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아니면 타미플루 부작용 때문인지 구분하고 있지 않다”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중추신경계를 침범하는 경우에도 신경정신과적 이상 행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만으로는 타미플루 때문에 이상 행동이 발생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 시카고대 약대와 미국 ... ...
- [과학뉴스] 달팽이에게 기억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 결과는 기억이 RNA에 저장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군소갯민숭달팽이와 인간의 중추 신경계에서 기억이 전달되는 과정은 비슷하기 때문에 기억이 전달되는 데 사용된 RNA의 종류를 알아낸다면 멀지 않은 미래에 알츠하이머병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에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척수는 감각기관에서 전해진 정보를 처리하고 판단한 뒤, 명령까지 내리는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입니다. 구조도 상당히 복잡하죠. 그런데 시간을 거꾸로 돌려보면 뇌와 척수는 아주 단순한, 하나의 관(tube)에서부터 발달합니다. 수정된 지 약 한 달이 지난 배아는 블루베리만 한 크기인데요. 이 ... ...
- [과학뉴스] 경련, 구토 방지에 효과 ‘대마’ 성분 의약품, 수입 허용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수용체와 결합한다. 대표적인 칸나비노이드 수용체가 ‘CB1’과 ‘CB2’다. CB1은 주로 중추신경계에, CB2는 대부분 면역체계와 위장관에 있다. THC는 이런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에 결합해 신경의 흥분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에서 신경이 과하게 활성화되면 정신·운동 기능과 인지 능력 ... ...
- [과학뉴스]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ALL)은 혈액 및 골수 내 림프구 계통 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일반적인 암과 달리 중추신경계로 쉽게 전이가 일어난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의 림프구가 척추 골수나 두개골 내 골수에 연결된 혈관을 따라 움직이며, 외부물질의 침입을 막는 뇌-혈관 장벽을 ...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성공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말초신경과 달리 머리와 연결되는 중추신경은 재생할 수 없다는 게 의학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물리적으로 연결한 것만으로 이식에 성공했다고 말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전세계는 생명과학 연구가 자유롭고 영장류 동물실험이 활발하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로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높아지면 조개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껍질이 녹아 생명을 위협받고, 물고기들은 뇌와 중추신경계에 타격을 입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답니다. 지난해 7월 미국 애들레이드대학교 연구팀은 바다의 산성화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동시에 생명체를 이루는 유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세포에서 일어나는 생명활동의 중추라고 할 수 있다.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호흡이 일어나는 장소로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에 모두 존재한다. 산소를 소비하면서 포도당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고,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엽록체는 ... ...
- [Origin] 내 안의 또 다른 나,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장내미생물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요. 장내미생물이 인간의 면역계 와 중추신경계에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인간의 외형이나 특성 등 각종 표현형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입니다. 오늘 소개할 논문은 마지막 연구주제인, 장내미생물이 인간의 표현형을 결정하는 현상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