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주머니에서 녹지 않는 초콜릿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역에서 수분 매개 곤충의 다양성이 61.1% 낮아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곤충의 다양성이 줄어들면서 어떤 지역의 작물이 가장 위협받는지 살핀 결과,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등 열대지방이 제일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특히 서아프리카의 특정 지역에서만 재배되는 ...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여러 나라에서 눈독을 들이는 기술이다. 하지만 극초음속 비행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줄 엔진이 아직 없다. 그래서 현재 연구는 기존의 로켓 엔진을 활용하거나, 아예 엔진이 없이 활강하는 방식을 사용해 단시간 비행만이 요구되는 미사일 개발에 집중돼 있는 상태다. 록히드 마틴에서 진행 중인 SR-72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자신에게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멈출 수 없는 현상을 설명해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과거 수렵 채집 생활 시절, 우리의 모험심을 자극하기 위해 뇌가 부조화하게 발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몸의 진화 속도가 더딘 탓에 청소년들은 여전히 더 많은 자극, 충동 욕구와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과학에 쓰이는 돈 어떻게 가져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제출합니다. 과제 제안서에는 삼엽충의 움직임 연구가 로봇 개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연구계획은 무엇이며 이때 드는 예산은 얼마정도인지가 정리돼 있습니다. 그러면 정부는 과제 제안서를 보고 예산을 지원할 팀을 선정합니다. 김공룡 박사의 과제 제안서가 운좋게 선정된다면, 정부의 ... ...
- [이달의 과학사] 컴퓨터 세계 체스 챔피언을 이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잘하려면 고도의 계산 능력이 필요하지요. 그래서 과학자들은 컴퓨터의 성능을 보여줄 방법 중 하나로 체스에 주목했어요. 체스를 두는 슈퍼컴퓨터는 20세기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해, 1970년대에는 아마추어 체스 대회에서 우승할 정도로 성능이 좋아졌습니다. 이후 1989년 미국 컴퓨터 회사인 IBM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보여주는 것이 전부일까? 미디어 속 프레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나 에스곰은 며칠 전 길에 있는 쓰레기를 주웠어. 그런데 누군가 ‘악마의 편집’을 해서 사람들에게 공유했지 뭐야?! 어떤 미디어를 편집하 ... 현실을 실제 현실처럼 인식하게 되지요. 우리는 미디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할 줄 아는 역량을 길러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봐야 한답니다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때문이다. 1초에 700번 이상 회전하는 밀리초 펄사는 우주의 신호를 우리에게 전해줄 수 있는 정밀한 시계가 된다. 펄사의 회전주기는 현존하는 시계 중 가장 정확한 원자시계의 주기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단 1분의 오차도 없이 정각에 도착하던 버스가 늦었다면 필히 그 사이 무슨 일이 있던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들었다. “인간 세상 쪽 높은 사람이랑 말해보려고 했어. 높은 사람이 그렇게 많은 줄은 몰랐지.” ★★는 깊은 한숨을 쉬었다. “게다가 그런 사람들은 절실하지 않은 소원 같은 건 필요로 하지 않는 사람들이니까. 말이 통하지 않았어.”아리는 한 번도 정우와 정우의 몸을 빌린 ★★를 헷갈린 적이 ... ...
- 편의점 음식, 먹기 전 확인해 봐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하루 칼로리에 비하면 매우 많지요. 나트륨★도 많이 들어 있어서 몸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나트륨이 많은 컵라면보다는 바나나 또는 우유와 함께 먹는 게 건강에 좋답니다. 컵라면, 전자레인지 넣기 전 꼭 확인! 흔히 컵라면 용기 재료로 쓰는 스티로폼은 열을 잘 견디지 못해요. ... ...
- 바닷속 보물을 찾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끝에 안전하게 발굴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Q. 내 용궁이 들키지 않고 이렇게 오래 버틸 줄은 몰랐어. 발견 당시 해남선은 썰물로 바닷물이 빠지면 일반 시민들도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곳에 있었어요. 하지만 그 지역에서 30~40년 동안 생활했던 주민들조차 선박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최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