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통"(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상대성이론에서 전율을 느껴본 적 있나요?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수식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렇다고 어설픈 비유로 눙치고 지나가지도 않는다. 과학을 정통으로 설명하되, 대중이 이해할 만한 수준으로 수위를 맞췄다.피셔는 인문학만큼 자연과학도 대중교양으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말한다. 자연과학을 이해하면 “세계를 향해 조금 더 품이 넓어질 수 있고, ... ...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따라 대진운을 점쳐볼 수도 있겠지만 반전은 있다. 일명 ‘자취 요리’의 대가 김풍이 정통 셰프 샘킴을 이기기도 했고, 홍석천은 모든 전문 셰프들을 한 번씩 다 이기는 쾌거를 거뒀다. 세계적인 스타 셰프 최현석 셰프는 13화 이전까지 스타 배지가 단 두 개뿐이었다. 수학의 눈으로 방송을 보면서 ... ...
- [과학뉴스] 긴 말은 않겠다. 그 땅콩. (사실은 마카다미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콩보고 견과류라고 하지 않듯이). 혹시 사달이 난 이유가, 단단한 껍질을 중시하는 정통 식물학적 정의에 충실하다보니 부들부들한 비닐 포장이 눈엣가시여서는 아닐지. 호주가 원산이며 부드럽고 고소한 맛은 미각을 일깨우는 것으로 유명하다. 일부 마트에서는 ‘비행기도 돌려세운 맛’이라고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이 일로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였던 알렉산드리아는 쇠퇴의 길을 걷고 말았다. 이단★ 정통에 어긋나는 교리를 가진 종교.번역 실수로 마녀가 된 마리아 아녜시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였던 마리아 아녜시는 1748년 미적분학과 적분학을 함께 다루는 책을 세계 최초로 제작하면서 수학계에서 ... ...
- '모른다는 것'이 천문학 연구의 매력 (타이탄 연구자 심채경 박사)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연구원은 처음에는 당황했다고 했다. 심 박사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위성을 정통으로 공부한 전문가. 토성의 위성 타이탄의 대기를 분석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위성을 따로 연구하는 학자는 거의 없거든요. 국내에서 태양을 제외하고 나머지 태양계 천체를 연구하는 분도 열 손가락 안에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온저자는 ‘인간으로서의 본능’을 이유로 꼽는다. 기계와 전자, 소프트웨어 기술에 정통한 공학자의 마지막 목표는 다름 아닌 ‘자신을 닮은’ 로봇이라는 것이다. 눈이 내리면 눈사람을 만들고,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 올라프라도 출연시켜야 직성이 풀리는 게 사람 심리인 걸 보면 맞는 얘기 ...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대체 관측이란 무엇인가?미시세계에만 통하는 법칙이 있다고?양자역학을 이해하는 정통이론인 ‘코펜하겐 해석’은 이렇게 주장한다. 우선 우주를 둘로 나눈다. 거시세계와 미시세계. 거시세계는 뉴턴이 만든 고전역학이 지배한다. 하나의 입자가 하나의 구멍을 지나는 세계로, 우리에게 친숙하다. ... ...
- 양자역학이 무거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퀀텀 스토리’는 각각의 천재가 이룩한 양자역학의 ‘결정적 순간들’에 집중하는 정통적인 방법을 택했다. 하나의 이론이 다른 이론에 영향을 미치고 그 이론을 발판 삼아 다음 이론이 탄생하면서, 역사상 가장 낯설고 기이하며 아름다운 물리학 이론이 완성되는 과정을 훑는다. ‘퀀텀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주장했습니다. 자동차애프터마켓 연구소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봅니다.” 정통 국내파 교수라고 기죽지 말라 틈새를 찾는 자가 승자다 우리나라는 해외유학파가 아니면 연구자나 교수로 자리잡기 힘든 게 현실이다. 동국대에서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모두 마친 김 교수는 특히 더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열정적이고 매사 열심히 달려드는 엔지니어의 모습보다는 오랜 기간 동안 한 우물을 판, 정통 학자의 모습이 묻어났다.이 센터장은 스스로 ‘공부는 썩 잘하지 못했다’고 했다. 하지만 당시라면 이공계 학과는 의대에 필적할 만큼 커트라인이 높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정유산업 붐이 일면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