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2024년 2월 20일, 일론 머스크는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의 음성 대화 스페이스 행사를 통해 “뉴럴링크 첫 임상시험 참가자가 (컴퓨터) 마우스를 움직 ... 나갈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머스크의 목표는 여전히 높다. 다음 파트에서는 현재 시점에서 BCI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본다 ...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변화로, 산화와 환원을 산소가 아닌 전자의 방출과 흡수로 설명하는 현대 화학의 관점을 감안한다면 플로지스톤 이론이 충분히 두 개념을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광택, 높은 전기 및 열전도성 등과 같은 금속의 공통 성질에 주목했던 플로지스톤 체계와 달리, 라부아지에게 중요한 문제는 ... ...
- 수학으로 엿보는 미래 사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집단의 행동은 개인의 행동 때문에 결정되지만, 개인의 선택은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해 부의 불평등, 경제 상황 같은 변수에 주목했다. 그리고 기원전 1500년부터 기원후 1500년까지 약 3000년 동안의 역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로마 제국의 탄생과 쇠퇴, 프랑스의 시민 혁명 같은 사회 변화가 ... ...
- '자체발광' 발광식물 연구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수 있어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편이라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만 밝기가 약하다는 게 단점이죠. 현재는 밝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식물에 제 연구를 적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각 식물이 원래 갖고 있던 특성을 활용하면 기존에 본 적 없던 새로운 발광식물도 만들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방에 들어가 주무시는 중일 것이다. 계속된 연락에 형은 ‘ㅎㅚㅇㅡㅣ’라며 오타로 점철된 문자를 보냈다. 늦은 저녁이라 그런지 사무처에는 직원이 하나뿐이었다. 그에게 말했다. “이거 엄청난 발견입니다. 정말. 학계를 뒤흔들 수도 있어요.”석사 과정 6개월째인 내가 봐도 선충들은 이상 ... ...
-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파악할 수 있다. 2023시즌 KBO 구단별 기록을 스타 차트로 만들어봤다. 스타 차트는 한 점을 기준으로 변수의 개수만큼 축을 그리고, 변수 사이를 이어 만든 그래프다. 기록이 쌍둥이인 선수를 찾아라! 체르노프의 얼굴 야구 기록은 지표가 많아 한 선수를 다른 선수와 비교하기 쉽지 않다. 이럴 때 ...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수학동아 l2024년 03호
- MLB에까지 유명해진 사건이 있다. 2015년 5월 13일 KIA 타이거즈와 kt wiz는 9회 초 5 : 5 동점을 이루고 있다. 2아웃 2, 3루 상황에서 KIA 타이거즈의 김기태 감독은 3루수인 이범호 선수를 포수 뒤에 위치시켰다. 투수인 심동섭 선수는 제구가 좋지 않아 공이 포수 뒤로 빠지는 일이 잦았는데, 만약 이 상황이 ... ...
-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피해 정도 계산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방법을 모른다는 것이다. 첫 번째는 방법이 다를 뿐 ‘데미지를 증가시킨다’라는 점에서 똑같고 게임을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알게 돼 크게 중요하지 않다. 문제는 두 번째다. 가격이 같은 아이템도 효과를 계산하는 방식에 따라 피해가 더 크기도 하기 때문이다. 아이템 중첩했을 때 데미지 ... ...
- [기획]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 비행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극초음속기의 문제는 아음속보다 초음속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기가 훨씬 어렵다는 점이다. 연료와 공기를 균일하게 섞는 것도, 화염을 꺼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도, 완전연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도 모두 해결해야 할 문제다. 초음속 환경에서 불꽃을 유지하는 엔진을 만드는 일은, 쉽게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쉽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연금술’은 18세기 이전까지 화학의 주요 연구분야였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연금술사들이 금을 만들려는 시도를 한 것은 사실이나, 이는 연금술에서 수행된 연구의 일부일 뿐이다. 연금술사들은 금을 만드는 것 외에도, 광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약제를 분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