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익명"(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내는 경우를 종종 봤다”며 “그런데도 피인용횟수는 1000회 이상 된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국내의 한 박사후연구원은 “지금은 논문을 쥐어짜내는 식”이라며 “새로운 평가 방식의 도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질적 성과지표 활용 늘어야전문가들은 R&D 평가의 목적이 연구기관이나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중국 정부는 13억 명이나 되는 전체 인구를 3초 만에 인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익명에 가려진 사생활이 더 이상 보장받지 못할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도 얼굴로 성정체성을 판별해내는 AI를 개발해 논란이 됐다. 이외에도 얼굴만으로 성격이나 정치적 성향 등 다양한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8월 29일 화성-12형 도발 이후 17일 만인 9월 15일 발사에서 사거리가 1000km 가량 늘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이번 발사에 대해 “북한이 정상각도로 3700km 사거리 도달에 성공한 것이 확실 하다면, 괌까지 도달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며 “북한이 IRBM급 미사일 기술을 완벽하게 확보했다고 볼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많이 나오고 있다(4파트 참조). 과학수사에서도 이런 좋은 정보를 놓칠 리가 없다. 기자와 익명을 요구한 H 기자, L 연구원의 DNA로 신상을 털어봤다.DNA 메틸화를 연구하는 이환영 연세대 의대 법의학과 교수를 찾은 건 폭우가 내리던 7월 6일이었다. 침만 뱉으면 된다는 이 교수의 말에 ‘왕년에 침 꽤나 ... ...
- [과학뉴스] 충격적인 비트코인 폭락, 원인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뉘게 된다.만약 비트코인이 둘로 나뉘게 되면 가격은 더 내려가게 될까.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 이더리움(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이 두 개로 쪼개졌을 때도 솔직히 망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오히려 그때보다 가치가 올라간 상황”이라며 “비트코인 역시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생각해낸 것이었다. 나는 아마추어 구름 관측 동호회 회원인 듯이 위장하면서 그런 익명 게시물을 보냈는데, 적중률이 완벽한 수준이었기 때문에 그 해 가을 무렵이 되자, 기상청 직원들 일부는 내 게시물을 신비로운 수수께끼로 여기기 시작했다.기상청 일기예보에서 비 올 확률이 0%로 나왔을 때, ... ...
- 밸런타인 데이의 로맨틱한 수학적 고백법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얻기 위해 이과생 형들의 고백법을 검색해 봤다.가장 먼저 눈에 띈 건 서울대학교 익명게시판 대나무숲에 올라온 게시글이었다. 함수를 활용해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다. 상대방이 x이고, 자신이 y=f(x)이면서 증가함수이고 싶다는 건 상대방에 맞춰 함께 사랑을 키워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금세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실제 미국 하버드대 라타냐 스위니 교수는 2013년 익명으로 DNA를 기부한 이들의 정보를, 이름과 주소, 우편번호, 생일, 성별 등을 포함하는 선거자 목록과 대조시켜 개인을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579명 중 241명의 신원을 밝힐 수 있었고, 정확도는 84%에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용하려면 최소한 10분은 기다려야 한다. 하필 10분인 이유는 비트코인을 설계한 익명의 개발자 ‘나카모토 사토시’가 그렇게 설계했기 때문이다).금융기관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용자를 제한하는 폐쇄형 블록체인을 운영할 계획이다. 작업증명 방식을 생략하고, 대신 거래 내역에 대해 다른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쓰던 USB3.0에 비하면 10배나 큰 전력이다. 그만큼 많은 열이 발생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자업계 연구원은 “보호회로가 이 정도 전력을 감당할 수 없었던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의 문제다’, ‘기기 자체의 스펙이 너무 높아 처음부터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