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학"(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용하기 전에 주의사항이 몇 가지 있어요. 첫 번째는 VR기기에 대한 안정성이 의학적으로 아직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는 점이에요. 이 때문에 메타 퀘스트와 같은 가상현실 전용 기기는 13세 미만 어린이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어요. 어린이가 가상현실 전용 VR기기를 사용할 경우엔 어린이의 발달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분명한 건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 지금까지 쌓은 연구로 이미 생물학과 의학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강과 질병, 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를 식별하고, 이것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알아내 병을 일찍 진단하고 예방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인간 유전체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독일 바이오엔테크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를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코로나19 mRNA(메신저 RNA) 백신 개발을 가능케 한 공로를 인정한 것이다. mRNA 백신은 인체가 외부 바이러스로부터 스스로를 지키는 방식을 뒤엎는다. 인체는 RNA가 외부에서 들어오면 다양한 ... ...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진행하는 전문가가 되어보는 진로체험 프로그램은 제약공학자 외에도 화학공학자, 의학자, 생명공학자 등 다양한 진로를 주제로 수업이 마련돼 있다. 그 외에 PCR 장비를 이용해 DNA를 증폭해보거나,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우유 속 단백질의 양을 측정해보는 실험 등 다양한 심화수업이 있다. DNA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복하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의학계는 절개 부위를 최소화해 건강한 조직을 최대한 건드리지 않는 ‘최소침습수술’을 지향한다. 몸속에서 의료용 로봇을 움직여 최소침습수술의 ‘끝판왕’을 꿈꾸는 연구자들을 만났다. 지난 9월 21일 DGIST E ... ...
- 아이작 뉴턴경, 당신의 생일 파티에 오신 걸 환영하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및 여성 학자 들에게 미쳤던 영향’ ‘유럽 흑사병 팬데믹이 뉴턴에게 미친 영향과 현대 의학적 해석’ 등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모든 글은 다가오는 12월 아이작 뉴턴 생일 카페에서 만날 수 있다. 갑작스레 소환된 아이작 뉴턴은 얼떨떨할 수 있겠다. 그러나 그와 그의 과학을 사랑하는 이들은 ... ...
-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보려면?Intro. [노벨상 2023] 미약한 첫걸음,인류의 빛이 되다Part1. [노벨상 2023] 노벨 생리의학상Part2. [노벨상 2023] 노벨 화학상Part3.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Part4. [노벨상 2023] 노벨 물리학상Part5.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삭감해 국내 과학 연구의 기반을 뒤흔들었다. 이 시점에서 커리코 부사장의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은 기초과학을 지원해야하는 이유와, 기초과학이 얼마나 국민의 건강과 국가의 생존에 필수적인지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필자소개남재환. 보건연구사와 보건연구관으로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mRNA 백신을 만드는 방식을 개발해 2005년 발표했다. 이 연구는 두 사람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는 데 결정적인 성과가 됐다. 두 사람은 이후로도 mRNA 백신과 관련된 논문 수십 편을 발표하며 새로운 질문을 하고, 거기에 대한 답을 하길 멈추지 않았다. 과학자의 ‘한 발짝’은 때론 대를 이어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가론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 의대 교수팀은 영어에 능숙하지 못한 환자들이 의학 연구의 대상자로 참여할 기회가 적다는 연구 결과를 8월 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382-0 새로운 치료법이나 신약이 나왔을 때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희귀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