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사소통"(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DNA가 루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이다. DNA 루프가 형성되면 유전체 위 조절 부위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그러나 DNA 루프 형성을 수행하는 단백질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없었다. 김 교수는 2019년 최초로 코헤신이 DNA 루프를 형성하는 모습을 실시간 형광 이미징을 통해 증명했다. 김 교수는 ... ...
- [특집] 익룡, 진짜 깃털인지 어떻게 알았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깃털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져야 해요. 처음 진화한 단순한 형태의 깃털은 보온이나 의사소통을 하는 데 쓰였을 거예요. Q이번 발견은 공룡과 익룡의 조상이 이미 깃털을 가지고 있었다는 뜻인가요?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공룡과 익룡의 공통 조상은 이미 깃털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어요. ... ...
- [멍냥과학] 반려견의 풍부한 표정, 비결은 사람 닮은 얼굴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얼굴 근육 중 약 25%에 불과했지요. 개가 늑대보다 속근의 비율이 높은 덕분에 사람과 의사소통을 더 잘 할 수 있었던 거죠. 한편, 늑대는 개보다 오랜 시간 수축을 유지할 수 있는 ‘지근’이 많았어요. 지근은 빠른 움직임이 어려워 다양한 표정을 짓기 어려운 근육이지만, 긴 울음소리를 내는 ... ...
- [기획] 다섯 글자로 말하는 수학 내 일의 원천!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수학 용사즈에 수학자만 뽑을 거라 생각하면 착각이야. 얼마나 다양한 직업군에서 용사들을 발굴할 수 있는지 알아볼 거야. 그들이 다섯 글자로 말하는 수학이 뭔지도 들어 봐! 흔히 수학을 계산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에 수학은 논리력과 사고력 등 전반적인 사고 과정을 훈련하 ... ...
- [통합과학 교과서] 애벌레가 쓰러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비슷한 점이 있다는 의미지요. 그렇다면 이 다양한 전기 신호를 버섯이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한다는 증거로 받아들여도 되는 걸까요? 그렇게 단정하기는 힘듭니다. 이 전기 신호는 버섯끼리 나누는 대화일 수도 있지만, 단지 균사가 자라면서 자연스레 방출하는 것일 수도 있거든요. 앤드류 ... ...
- [가상인터뷰] 바다가 더워질수록 시끄러워지는 딱총새우!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Q 그게 큰일인가요?우리는 딱총으로 사냥도 하고 의사소통도 해요. 아란 무니 연구원은 “바닷물 수온 상승은 딱총새우의 의사소통, 번식, 사냥에 영향을 줄수 있다”며 “딱총새우가 만들어내는 소리가 더커질 때 생태계에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살펴 봐야 ... ...
- [매스미디어] 수학계에도 우영우가 있을까?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진단받았어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뇌 발달에 관한 장애로, 사회적인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특정 행동을 반복하거나 융통성이 없는 성향이 있어요. 스펙트럼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장애를 가진 사람의 증상과 중증도는 매우 다양해요. 영우는 IQ가 160 이상이며 고래에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갖추고 있는지를 함께 평가합니다. 대학에서 공부할 때 갖춰야 할 기본 역량과 의사소통 능력을 갖고 있는지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전공적합성을 잘 챙긴 생활기록부인 셈이죠.저는 그 전략으로 글쓰기 및 말하기 관련 활동, 학급 발표 활동을 적극 추천합니다. 실제로 저는 다양한 발표 활동에 ... ...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상] 수리물리학의 살아있는 전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떠납니다. 일본 교토대학교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했거든요. 그때 일본어도 열심히 배워 의사소통은 거뜬히 한다고 합니다. 4년 뒤에는 다이아몬드 산지로 유명한 서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으로 갑니다. 푸라베이대학교에서 응용수학을 가르치는 교수로 1년 동안 일했지요. “1961년 영국으로부터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많은 한국 수학자들이 꿈 같다고 표현하는 일대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허준이 교수가 2022년 필즈상을 수상한 것입니다. 허 교수는 부모님의 미국 유학 중에 미국에서 출생했지만, 2살 때부터 줄곧 한국에서 살았고 초중고를 거쳐서 대학원 석사까지 국내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미국 박사과정 때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