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문"(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500유로 내고 가는 해외여행?! 과학자 유혹하는 가짜 학회실태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차례로 넣었다. 그리고 ‘생성(generate)’ 버튼을 눌렀더니 순식간에 A4용지 3장 분량의 영문 논문이 튀어나왔다. 대충 훑어보니 초록부터 서론, 실험 방법과 결과, 결론, 심지어 참고문헌 목록까지 논문 양식을 제대로 갖췄다. 이번에는 와셋(WASET) 홈페이지(waset.org)를 열었다. 미국 뉴욕, 프랑스 ... ...
- [수학 잡지 독자가 만든 문제] 삼각형으로 정사각형 쪼개기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말이 있을 정도로 홍보가 잘 되지 않아 아쉬운 책입니다. 아쉽게도 몬스키의 증명은 영문판 4판부터 들어갔기 때문에 당장 한국어로 이 부분을 접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4판은 한국어 번역본이 나와 있지 않거든요. 삼각형끼리는 넓이가 얼마나 비슷할까? 한편 지글러는 최근 재미있는 연구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혹은 입자들의 특정한 집합체가 될 수 있다. ’물질의 양을 나타내기 위한 기본단위인 몰(영문: mole, 기호: mol)의 현재 정의다. 이처럼 몰은 다른 기본단위인 질량에 의존해 왔다. 또 구성요소의 개수를 통해서 양을 정의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그 수가 얼마인지는 명시돼있지 않았다. 따라서 질량의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집필한 SF 소설임을 알려드립니다. 박사가 근무하고 있는 연구소의 이름은 NEOT였다. 영문 명칭의 알파벳 약자를 땄을 때, 그것을 발음할 수 있으면 그 이름은 멋있다고 생각하는 순박한 사람들이 지은 이름이었다. 지구 가까이 있는 물체를 연구하는 팀이라는 뜻인, ‘Near Earth Object Team’의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쥐의 배아는 유전자를 없앤 뒤에도 온전히 발달해 성체로 자랐습니다. 대체 어떻게 된 영문일까요? 과학자들은 기작의 ‘중복성’으로 결과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포 자멸이 워낙 중요한 기작이다보니 유전자 변이 등으로 한 요소가 제 기능을 못할 경우, 이를 대체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 ...
- [과학뉴스] ‘세레스’ 지형에 한국 신(神) 이름 붙었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설명했다. 그는 “눌굽(낟가리를 쌓기 위한 터)의 신인 ‘눌굽지신’도 제안했지만, 영문 자료가 적고 발음이 어려워 일차 탈락했다”고 덧붙였다. 2007년 발사된 돈은 2015년 세레스에 도착해 현재 상공 약 23만8000km를 돌며 지구로 자료를 보내고 있다. 자청비를 포함해 지금까지 세레스에서 지명이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돌고폴로프 러시아 과학생산연합(NPO) 연구원은 지난해 4월 프랑스 파리 기반의 영문 뉴스 ‘월드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그동안 우리도 NASA도 달 연구에는 많은 시간을 쓰지 못했다”며 “그러나 지난 10년간 위성관측 결과를 보면 달의 극지에는 물이 존재할 수 있고, 호흡을 위한 산소가 존재할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돌아갈 자리는 교수라고 언제나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걸 제일 잘 알고 있는 시투아는 영문도 모를 일로 자기를 부려먹는 은사에게 이 정도의 심술은 부려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았다.인류 최초의 항성 간 우주선 바루나 호는 알큐비어 드라이브를 사용해 초광속 여행을 실현했고 최초로 다른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그런데 도서관 전체가 시끄럽게 울리며 경보기 소리를 압도했다. 나는 이게 도대체 무슨 영문인지 몰라 마찬가지로 캠프로 뛰어오는 노인과 아줌마를 보았는데,그 뒤로는 온통 날카로운 가시로 뒤덮이고 시각 센서가 새빨갛게 빛나는 거대한 로봇들이 쫓아오고 있었고―돌연 도서관 천장을 뚫고 세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2살 때에 장차 과학자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다른 학문 분야, 이를테면 역사, 종교, 영문학, 혹은 사회과학은 실질적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꾸준히 보여주지 못한다고 판단했다. 처음에는 천문학에 빠져들었다. 영겁의 세월을 지낸 우주의 광활함과 아름다움이 창세기의 칠일 창조보다 훨씬 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