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염색법
염색업
착색
물들임
d라이브러리
"
염색
"(으)로 총 3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형광물질로
염색
해 실험하던 중 우연히 혈액세포가 뼈 속을 통과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했다.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구팀은 신남산에틸이라는 화학물질을 이용해 다리뼈를 투명하게 만든 뒤, 시트광 형광 현미경 기법(LSFM)과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실험을 진행했다. 원래 흰색을 띠는 양털을 회색이나 갈색, 또는 검정색을 띠게 하면
염색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유전자에서 염기쌍 4개를 없앤 양 3마리 중 2마리는 검은색, 1마리는 갈색을 나타냈다. 염기쌍 2개를 없앤 양 2마리는 젖소처럼 검은색과 흰색이 얼룩덜룩했다. 문제는 이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촉촉 립밤으로 가을철 입술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칠월씨와 야외 데이트를 즐기기로 했어요.데이트를 앞두고, 잘 보이고 싶은 마음에
염색
도 다시 하고, 콧수염도 다듬었죠.그런데 이게 웬일인가요! 가을철 쌀쌀해진 찬바람에 섭섭박사님의 입술이 갈라지기시작했어요. 데이트 날까지는 고작 3일 밖에 안 남았는데 말이에요.섭섭박사님의 입술을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색소로
염색
해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까지 성공했다. 현미경 렌즈 속은 빨갛게
염색
된 선충류, 요각류 등으로 가득 차 있었다. 김 책임연구원은 “저서생물은 다른 열대 해양생물의 먹이가 돼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저서생물의 생물량이나 종류를 통해 해양의 생산성이나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제작진은 영화에 문직기를 복원해 등장시키지 못했다. 옷감을 바느질해 옷을 만들거나
염색
한 옷감을 바람에 말리는 장면으로 직조술을 보여주는 데 그쳤다. 심 교수는 “직기를 복원하려면 연구에만 수년이 걸린다”며 “당시 문직기 복원을 연구하고 있었지만 시간이 부족해 결국 영화에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핵 속에서
염색
사의 형태로 존재하지만, 세포가 분열하는 동안에는
염색
사가 응축된
염색
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유전자와 단백질의 관계동양인은 대부분 눈동자가 갈색이다. 반면, 서양인의 눈동자는 대부분 파란색이다. 눈동자의 색깔은 왜 다를까? 오른쪽 위 그림은 갈색 눈동자와 파란색 ... ...
[과학뉴스] ‘꿈의 신소재’로 손상 없이 머리
염색
?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기준도 충족한다. 황 자싱 교수는 “그래핀은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기존의 일회성
염색
약과 달리 색이 오래 간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그래핀이 전도성을 지니고 있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만큼 앞으로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doi:10.1016/j.chempr.2018.02.02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그래비키 랩스는 옷이나 신발에 사용할 수 있는
염색
물감과 잉크젯프린터용 잉크도 연구 중이다. 개발에 성공한다면 누구나 집에서 배기가스로 만든 잉크로 서류를 인쇄할 수 있게 된다. 샤르마 씨는 “처음에는 자동차 매연을 줄여보자는 생각에서 에어잉크를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염색
체의 비율이었습니다. 난자의 경우
염색
체 수에 비해 세포질의 양이 너무 많아서
염색
체가 제대로 분리되는지 스스로 점검할 수 없었던 겁니다. 하나의 큰 난자를 만들어내는 대가로 자연 유산의 빌미가 생긴다니, 참 아이러니한 생명 법칙입니다 ... ...
[Issue] 국내 첫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여부까지도 꼼꼼하게 살핀다. 정현민 부재조사연구팀 선임연구원은 세포벽을 빨갛게
염색
한 목부재 조각을 현미경으로 보여주며 “해부학적 형태를 보면 수종을 비교적 정확히 알 수 있다”며 “조선이 문호를 개방한 이후에 수입된 일본 목재를 가려내는 데도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조사를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