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장
양어장
사육장
어장
사육징
농장
d라이브러리
"
양식장
"(으)로 총 6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계 천적, 자연의 무법자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뛰어나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이 괴물은 어디서 온 것일까? 답은 매우 간단하다. 가재
양식장
주인이 종을 번식시킬 목적으로 미국에서 들여온 것이었다.붉은가재는 다른 종류보다 10배 이상 번식력이 강하다. 현재까지 프랑스의 15개 이상 지방에서 발견되었다. 파리 교외 호수에서 아마추어 ... ...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신소재 콘크리트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사용할 수 없다. 우선은 발전소나 제철소 등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대형시설이나
양식장
에서 그 능력을 시험할 수 있으며, 도로포장에 사용할 경우 자동차가 배출하는 탄산가스를 흡수하는 동시에 콘크리트의 무수한 동공이 자동차 소음을 흡수할 것이다. 또 빗물을 투과시키므로 빗길 ... ...
해양생태계 회생작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와 같이 연안의
양식장
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유출된 기름이 연안을 덮치게 되던 수십억원 이상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특히 개펄이나 습지는 오염에 민감한 어린생물들의 서식처이기 때문에 기름에 의한 피해는 눈에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DOPA 또는 그 관련물질은 굴과 같은 패류의 정착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종전에
양식장
에서 사용했던 굴 부착용물질을 DOPA 등으로 대체하면 굴을 대량증식할 수 있게 될 것이다.해양생물공학은 에너지 및 생체자원의 이용에도 관여한다. 극히 작은 조류(algae)로부터 석유를 얻거나 미래의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바닥을 파 굴을 통하게 하여 해저 퇴적물의 구조를 다공질화하고, 부영양화된 내만이나
양식장
바닥 또는 검은색으로 변해버린 퇴적물 한 가운데로 해수를 활발히 수송함으로써 해양생태계의 정화를 담당하고 있다. 썩은 밭을 갈아 일구는 농부의 삽질같은 이러한 행동을 생물교반(bioturbation)이라고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관해서는 우리나라만의 특수한 상황이 고려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서남해안의 수많은
양식장
에서 사용되고 있는 막대한 양의 스티로폴 부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쪼개져서 작은 알갱이가 되는데, 아직까지 이것들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바다는 늘 먼 곳에 있고 그래서 ...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햇볕을 안쬐어도 김이 썩지않고 파래등이 끼어들지 않는 염산처리 방법을 개발해냈지만
양식장
주변의 바지락까지도 몰살시키는 염산의 유독성 때문에 이 방법은 일본에서도 금지되고있다. 윤씨는 일본인들이 외국인투자기업의 치외법권적인 특권을 이용해 우리 바다를 염산으로 더럽혀가며 ... ...
코브라의 새사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벌레가 앉으면 잎을 잽싸게 닫아버린다.(2) 불가사리는 조개를 매우 잘 먹으므로 조개
양식장
에 큰 피해를 준다. 이들은 어떻게 조개를 잡아 먹을까?① 관족을 조개껍데기에 붙인 후, 팔을 휘둘러 조개를 바위에 부딪치게 한다. 그런 다음 껍데기에 구멍을 내서 빨아 먹는다.② 관족을 껍데기에 붙이고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기른다. 따라서 이 곳의 송어들은 비록 양식된다고는 해도 다른
양식장
의 송어들처럼 사람을 보고 먹이를 받아먹기 위해 앞다투어 몰려들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연에서만 자란 동료들처럼 사람을 조심스레 피해가는 것이다.이런 방법이 얼마나 실용화될 수 있을지는 ... ...
물 오염의 복병 중금속 화학물질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생산과 사용이 제한되게 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산업폐수로 인해
양식장
과 어장을 망친 사례는 일일이 꼽기도 어려울 정도며 아직도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온산의 공해병 역시 온산공단의 산업폐수가 원인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대체로 화학물질 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나 생태계 파괴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