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수"(으)로 총 1,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여성 건강 책임지는 개발자 '해피문데이 부혜은 CTO'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특징이 있나요?평소에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정확한 걸 좋아해요. 덕분에 무슨 일이든 실수를 줄이고 정확하게 할 수 있어요. 한편으론 수학과 출신이라 그런지 다른 사람보다 수치에 집착해요. 단위가 잘못되거나 조금의 오차가 있으면 참을 수 없어요(웃음). Q ─ 해피문데이의 다른 개발자가 ... ...
- 세 번째 질문 I 우리는 진정으로 무한을 아는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무한의 정의에 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해요. 예를 들면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 크기인 무한 집합이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하지요. ‘연속체 가설’이라고 알려진 문제인데요. 근데 아주 신기하게도 ‘현재의 수학 체계에서는 이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증명할 수 없다’가 증명돼 ... ...
- 플레이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조심하세요~! 김봄(ras**) 네일(손톱)에 매니큐어를 바르는데 옴마야! 시…, 실수로 잘못 칠했잖아? 티셔츠에 칠해버리는 바람에 엄마가 매니큐어 금지령을 내렸다.김봄(ras**) 독자, 다음에는 긁으면 바로 지울 수 있는 어린이용 매니큐어로 발라보는 건 어떤가요? 내 맘대로 ... ...
- [People] 100만 자리에서 100조 자리까지...이와오 엠마 하루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계산한 결과를 검산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때가 가장 무섭고 긴장됐어요. 계산 과정에 실수가 있으면 결과가 바뀌니까요. 마침내 신기록을 달성한 걸 확인하고 뿌듯했답니다. Q. 컴퓨터 계산에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요?아무리 빠른 컴퓨터가 있어도 원주율을 계산하는 수학 공식이 없으면 10 ... ...
- [Rethinking] 허수 i는 왜 필요할까?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않는 수라는 인상을 주는 이름 때문에 수로 받아들이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실수와 허수를 포함한 복소수는 수 체계를 완벽하게 해줬고, 그 쓰임도 어마어마하다. 한때 존재하지 않는 수라고 오해했던 허수를 들여다본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Rethinking] 허수 i는 왜 ... ...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건 아니에요. x2 = -1이나 x2 = 2처럼요. 실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도 마찬가지로 모든 해가 실수는 아니지요. 하지만 앞서 이야기한 가우스의 대수학의 기본 정리에 의해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복소수 방정식의 해는 언제나 복소수예요. 그러니까 수 체계를 더 확장할 걱정이 없어요. 방정식의 해를 ... ...
- 야! 너두 할 수 있어....POSTECH 학생들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제주과학고등학교는 한 학년이 40명이어서, 수학 내신이 좋지 않았어요. 인원이 적다보니 실수로 문제를 틀리면 내신 등급이 훅 떨어지거든요. 1학년 겨울방학 때 하루 11시간을 수학만 공부해서 내신 등급을 3등급이나 올렸어요. Q. 수학 문제를 잘 푸는 자신만의 방법이 있나요? 유성:주변에서 제게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유리수와 무리수를 채우면 실수라는 직선이 완성되지요. 그런데 a + bi라는 복소수는 실수 부분과 허수 부분을 2개의 직선으로 표현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2차 평면이 나왔고, 이게 복소평면이 된 거예요. 덕분에 a + bi와 c + di가 있으면 두 수의 덧셈은 x축은 x축대로 y축은 y축대로 더할 수 있게 ... ...
- [논문탐독] 휜 숟가락 펴기 힘든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독자 여러분도 꽝꽝 언 아이스크림을 먹다가 실수로 숟가락을 구부러뜨린 경험이 있을 겁니다. 숟가락에 가해진 힘이 탄성한계를 넘어서서 비가역적인 변형이 숟가락에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더 놀라운 점은 이 구부러진 숟가락을 다시 펴려고 하면, 처음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건 정말 좋아하는데, 정해진 시간 내에 빠르게 계산해서 푸는 것을 싫어한다. 계산 실수를 종종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등학생 때 을 쓰면서, ‘수학책을 썼는데 수학 점수는 좋아야지’라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기를 쓰고 수학을 많이 공부한다(웃음). Q.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