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습지"(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모니터링 자료가 있어 저어새의 번식지를 지켜낼 수 있었지요.”이외에도 한강 하구 장항습지를 18년 동안 모니터링한 에코코리아와 지구사랑탐사대의 탐사왕, 전라북도과학교육원 유상홍 해설자도 시민과학의 사례를 소개하며 중요성을 알렸지요.장이권 교수는 “시민과학도 엄연히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금은 상황이 역전됐다. 어떻게든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기 위해 갯벌에서 한 포기의 습지 생물이라도 늘리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독자 여러분도 갯벌과 블루카본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주기를 당부한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생물자원연구단 책임연구원으로,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히려 수수하다고 할 수 있어. 미국, 캐나다 등에 있는 물살이 느린 강이나 얕은 호수, 습지에서 지내. 4월에서 6월쯤엔 알을 낳기 위해 이동하기 때문에 상류에서도 볼 수 있어. 나이는 어떻게 되세요?지난 5월 23일, 미국 노스다코타 주립대학교 알렉래크만 연구팀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 ...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런데 며칠 뒤 대부분의 금개구리들이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양서류습지는 연못을 덮고 있는 수생식물이 거의 없어 천적에 노출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동한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했다. 실제로 금개구리가 발견된 수생식물원 연못은 애기부들, 자라풀, 개구리밥이 풍부하게 자라있었다. ... ...
- [가상인터뷰] 수원청개구리를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리가 특별히 조심해야 할 행동은 없니? 연구팀은 수원청개구리가 서식하는 논과 습지에 살충제와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농사법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야. 왜냐하면, 개구리는 피부와 폐로 호흡하기 때문에 화학 물질이 닿으면 생명에 큰 ... ...
- [언니오빠 논문 연구소] 치타가 던진 숙제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생물다양성 연구란 지구상의 생물종을 발굴하고, 이들의 서식 환경(사막, 삼림지, 습지대, 산, 호수, 강 및 농경지)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종 내의 유전자와 한 집단 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 연구를 총체적으로 다루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유전적 다양성 연구는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물물교환의 흔적이 남은 ‘수상시장’, 연꽃, 소금쟁이, 물고기, 소라를 관찰했던 ‘연꽃 습지’ 등, 탐사대원들은 각종 체험 활동을 통해 태국을 신나게 즐겼다. 그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곳은 진짜 야생을 탐험하는 쿠이 부리 국립공원의 코끼리 사파리였다.진짜 야생을 만나다, 사파리 투어1999년에 ... ...
- 바닷가 식물에 숨겨진 탄소 저장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이리저리 갈라진 줄기, 물 밖으로 비죽비죽 튀어나온 뿌리, 마치 걸어 다니는 나무처럼 생겼잖아? 그런데 저 이상하게 생긴 맹그로브 나무가 블루카본이라고? ...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어과동 친구들도 자연을 아끼는 마음을 가진다면, 갯벌과 염습지 생태계가 새롭게 보일 거예요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꽃이 낙지를 닮았네! 낙지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가장자리에 위치한 습지에 살지요. 서식지와 개체 수는 풍부하지만, 최근 곳곳에서 습지를 개발해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어요. 그래서 국립수목원은 낙지다리를 희귀식물 중 ‘약관심종’에 지정했어요. 약관심종은 현재 멸종 위험은 적지만 분포 조건에 따라 멸종 위기가 될 수도 있는 식물을 ... ...
- [사냥법] 식충식물, 슉~ 빨아들이고, 미로에 가두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질소와 인 같은 영양분을 얻어요. 그런데 식충식물 대부분은 땅이 항상 물에 잠겨 있는 습지대에서 살아요. 이런 곳에는 식물에게 필요한 형태의 질소가 부족해요.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질산이온을 만드는 미생물이 살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러다 보니 식충식물은 영양분을 곤충에서 얻을 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