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준"(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PPT가 만들어졌다. 이제 창래 씨가 할 일은 생성 AI가 만든 자료를 꼼꼼히 확인하며 더 수준 높은 PPT로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이다. PPT를 살피던 창래 씨는 시각화 자료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수치가 정리된 엑셀을 켜고 채팅창에 “시각화 자료를 만들어 달라”고 입력하자 데이터가 깔끔한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정도로 방대하다. 그런데도 오늘날 유전체 검사 비용은 20년 전과 비교해 약 100만분의 1 수준이다. 환자의 유전체를 통째로 들여다보는 비용이 크게 낮아진 것이다. 주 교수는 “연구실에서 사용하던 암 환자 전장유전체를 보는 기술을 임상 현장, 즉 환자 진료에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 ...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깊은 고민 끝에 그렸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스스로를 인간처럼 묘사한 것도, 인간 수준의 사고가 가능한 인공일반지능(AGI)을 기대하는 인간 작가들의 작품을 학습해서겠지요. 놀라운 건 사용성이었습니다. 말 한마디에 표지가 그려지다니요! 과학동아는 지난 1년 기사에 들어가는 이미지 일부를 ... ...
- [그래픽] 특명: 양자나노과학을 알려라!과학동아 l2024년 01호
- STM)을 알리는 임무다. STM은 뾰족한 탐침으로 마치 점자를 읽듯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아주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는 장비다. 그중 ESR-STM은 단일 원자의 스핀 상태를 볼 수 있다.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 ESR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설명했다. 과정- 손톱보다 얇게 다섯 층의 금속을 쌓다 원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 수준으로 간단하게 여겨진다 해도, 이를 이용해 고품질의 도금을 구현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김성일 MKS 아토텍 일반표면처리사업부 본부장은 자동차 전면에 쓰이는 그릴 부품 도금을 예로 들었다. “자동차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AGI가 구현된 현실을 좀 더 상상해 볼까요? 학교에서는 인공지능 선생님이 학생의 수준을 정확히 진단해서 맞춤식 수업을 해 줄 거예요. 인공지능 법률가가 죄목을 따져 공정하고 빠르게 판결하고, 인공지능 의사가 환자의 질병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부터 수술까지 해 줄 수도 있어요.AGI 기술은 2040 ... ...
- [눈치상] 갈매기는 남의 과자가 더 맛있어 보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짜장면을 먹을까 짬뽕을 먹을까, 비빔냉면을 먹을까 물냉면을 먹을까? 우리는 항상 선택의 갈림길에 놓여요. 그런데 갈매기는 두 종류의 과자 ... 속 감자칩을 쪼아 먹었습니다. 연구팀은 재갈매기가 사람의 행동에 주의를 기울이는 높은 수준의 인지가 가능하다는 뜻이라고 분석했습니다 ... ...
- [과학뉴스] 기니개코원숭이, 나한테 간식 안주면 나도 안줌! 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모두 이익(간식)을 얻기 위해 이전에 이기적인 선택을 한 상대에게 불이익을 주며 협력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협력을 유지하기 위해 먼저 호의를 베푸는 전략은 인간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어요. 하지만 인간이 아닌 영장류가 이렇게 협력을 하는지는 분명치 ... ...
- [질문하면 답해ZOOM!] 차에서 휴대전화를 보면 왜 어지럽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화면에서 눈을 떼고 주위를 둘러보는 게 좋아요. 모든 사람이 동일한 조건에서 같은 수준의 멀미를 느끼는 것은 아닙니다. 아직은 어떤 사람이 멀미에 더 취약한지 정확히 알 수 없어요. 다만 12세 이하의 어린이는 뇌가 발달 중인 시기여서 멀미를 더 잘 느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우리는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해수면은 82cm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33년간 관측치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에요. 만약 이 전망이 현실이 되면, 부산 해운대는 아예 사라지고 제주도도 대부분 물에 잠겨 30만 명이 이주해야 합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저탄소 시나리오를 적용해도 2100년 우리나라 해수면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