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갑문
둑
제수
수로
부함
물문
취수문
d라이브러리
"
수문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변화시키며
수문
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했더니
수문
바닥의 모양만 변화시켜도 기존
수문
보다 물을 30% 정도 잘 통과시켰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가로림만과 인천만 조력발전소에 적용될 수 있다.이들은 양식장의 피해를 걱정하던 주민들에게 방조제로 바닷물을 막으면 물살이 잔잔해져 오히려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게이트 전극이 전류통로 전면을 감싸는 구조인 ‘전면게이트’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수문
장이 통로 전체를 지키고 있기 때문에 누설전류를 막아 트랜지스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가장 효과적으로 막는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면게이트 구조를 이용하면 상온에서 동작할 수 있는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이선 교수는 “창덕궁의 원활한 배수는 자연을 잘 살핀
수문
체계 덕분이다”고 설명했다.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 주 능선을 기준으로 연못이 왼쪽에 5개 오른쪽에 4개가 있다. 연못이 있는 지점은 능선을 타고 내려온 물이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는 곳이다. 600년을 ... ...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로댕은 깔레의 용감한 시민 6명을 모티브로 ‘깔레의 시민’이란 작품을 만들었다.
수문
학자로서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순리에 몸을 맡겨왔던 선우 교수가 젊은 세대를 위해 목숨을 바친 ‘깔레의 시민’을 보며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는 것은 왜일까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철제로 된 천정덮개를 유압으로 밀거나 당기는 방식이다. 버스 출입문이나 댐의
수문
을 생각하면 된다. 덮개는 돔형태가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덮개 같은 평면형이 더 적합할 수 있다.태권V를 실제로 제작한다 해도 인류의 생활을 더 가치 있게 만드는데 쓰여야 한다. 앞에서 제안한 것보다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국립산림과학원과 국립수목원의 협조를 받아 광릉수목원에 증발산 측정탑 두 개와 생태
수문
관측시스템을 구축했다. 맑은 여름날 광릉 숲은 하루에 4mm(1m2 면적 당 2L짜리 생수 2병 정도)의 물을 대기로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을 우리나라 전역에 설치할 수 없는 노릇이다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얘기다.우리가 실제로 물이 얼마나 부족하다고 느끼는지를 나타내는 건 영국의 생태
수문
연구소가 제시한 ‘물빈곤지수’다. 물빈곤지수 산출은 국제인구영향연구소가 사용한 방법보다 훨씬 복잡하다. 이 지수는 우리의 물자원, 상수도 보급률, 수자원 관리 기술, 사회기반시설, 소득 수준, 사용량, ... ...
청계천(淸溪川)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등 인공적으로 끌어들인 물은 차단되고 복개구조물과 청계천을 가로막고 있는 석벽의
수문
이 열리면서 청계천으로 흘러든다.청계천에 인공적으로 물을 흘려보내는데는 하루 238만원, 연간 8억7000만원이 전기료로 들어간다. 유지·관리 비용으로 전기료와 인건비를 합치면 연간 18억원 정도가 소요될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것을 의미한다.이 때문에 여름철 홍수 피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새만금의 방조제
수문
은 간조시에만 대략 3~4시간(1일 6~8시간) 동안 물을 방출할 수 있으므로 만약 예상보다 많은 양의 비가 왔을 경우 만조시에는 전혀 손을 쓸 수 없고 물이 빠질 때까지 며칠 동안 기다려야 한다. 무엇보다 최근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프로테오믹스 기술을 이용해 신약 및 진단시약 개발 등 제약산업에 필요한 고부가치 단백질을 발굴해 국내 생명공학 선진화에 기여하겠습니다.” 유명희 프로테오믹스 이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4 세포의
수문
장 막단백질을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