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레"(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6시. 해가 많이 기울었다. 바닥에서 긁어모은 소금이 칸마다 수북이 쌓였다. 염부들은 수레에 소금을 실어 염전 바로 옆에 있는 소금 창고로 옮겼다. 따라가 보니이미 창고엔 소금이 산처럼 쌓여 있었다. 눈처럼 하얀 금이 쌓여 있는 보물 창고 같았다. “우와~” 감탄사를 연발하는 기자에게 ... ...
- 성공하는 과학관의 7가지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있는 ‘론치패드’(Launch Pad). 2007년 새롭게 개장한 과학놀이터다. 론치패드에는 도르래나 수레바퀴로 쌀을 퍼 옮기는 대형 기계, 프리즘과 거울을 이용해 빛의 색과 진로를 바꾸는 장치, 센서나 코일 등 간단한 부품으로 생활 속 전기회로를 만드는 공작소가 있다.론치패드의 후원사인 닌텐도는 ...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수레나 자전거의 질량 중심도 역시 같은 높이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바퀴가 구르는 동안 수레나 자전거의 위치에너지는 일정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일을 해주지 않아도 일정한 운동에너지, 즉 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그렇다면 네모난 바퀴는 어떨까? 자동차에 사각 바퀴를 달면 굴러갈 수 있을까? ...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과학동아 l2008년 09호
- 화차와 결합시킬 경우 당시 찾아보기 힘든 연속발사가 가능하다는 점. 특별 제작된 수레인 화차 위에 신기전기라는 발사대를 얹으면 도화선의 길이를 조정해 중·소신기전 100발을 한꺼번에 발사할 수 있다. 발사된 100발의 신기전은 모두 반경 70m 안에 떨어진다. 신기전에 ‘세계 최초의 ... ...
- 한우 꽃순이의 독백과학동아 l2008년 09호
- 한두 마리씩 키우기 때문이라네요. 사람들은 소젖을 짜 먹고 농사일도 같이 하고 짐수레 끄는데도 소 힘을 빌린다는 군요. 말 그대로 한 가족인 셈이죠. 아, 인도에 사는 소들이 부럽다! 마하트마 간디가 남긴 말이 제 심금을 울리네요.인도에서 소는 최고의 친구다. 소는 많은 걸 준다. 젖을 줄 뿐 ...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과학동아 l2008년 03호
- 바뀌는 왕오색나비의 애벌레가 낙엽 밑에 웅크리고 있다. 또 길 한가운데 서서 지나가던 수레를 멈출 정도의 위용을 지닌 사마귀는 알집을 메마른 나뭇가지에 붙였다. 살을 에는 겨울이 오면 대부분의 곤충이 추위를 피해 나무 뒤로 숨는다. 여름 내내 포충망을 들고 곤충을 찾던 사람들도 탐색을 ...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과학동아 l2008년 02호
- 같은 형상의 약 50kg의 철제 세차(勢車, fly wheel)를 붙인 장치로서 힘이 조금만 가해져도 수레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데서 이 명칭이 생겼다 입자(粒子)의 관성력과 유체의 점성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無次元數)로서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무차원화 했을 때의 ... ...
- 행복의 기술과학동아 l2008년 02호
- 버리기 때문이다.어쩌면 인생에서 돌이켜보면 행복과 불행, 이 동전의 앞뒷면 같은 수레바퀴의 순환에서 굴대가 아닌 중심에 설 수 있는 것은 오직 ‘순간’뿐이다. 갓 낳은 아이를 품에 안을 때 품안에서 풍겨오던 아이의 젖 냄새, 사랑하는 이와 처음으로 밤을 보낸 뒤 눈 내리던 아침 강의 풍경. ...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과학동아 l2008년 01호
- 외에도 도르래와 물레를 이용해 돌을 들어 올리는 장비인 녹로와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수레인 유형거를 개발해 공사에 도입했다. 그 결과 거의 6km에 이르는 성벽과 34개 군사시설, 왕이 머무는 화성행궁, 주민들이 머무는 일반 가옥 모두를 1794년 1월부터 1796년 8월까지 고작 2년 8개월 만에 완성됐다. ...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과학동아 l2007년 07호
- 전설이나 풍습을 반영한 이름을 붙였다. 천황대제, 삼공 같은 직위에서 절구, 되, 말, 키, 수레 같은 생활도구는 물론 개, 이리 같은 동물이나 나루터, 화장실, 우물 같은 장소까지 다양하다. 동양 별자리는 왕실 귀족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종대부’(宗大夫) 같은 극소수의 한국 고유 별자리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