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d라이브러리
"
소수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앞서 소개한 쌍둥이
소수
가 수학계에서 가지는 무게는 가볍지 않다. 쌍둥이
소수
는 무한하다는 내용의 ‘쌍둥이
소수
추측’이 정수론에서 유명한 미해 ... 사연이 알려지며 단숨에 스타 수학자로 떠올랐다. 그를 계기로 너도나도 쌍둥이
소수
추측에 뛰어드는 일종의 신드롬까지 생겨났다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거머쥐었다. 필즈상 수상 이후 그는 대중 강연에서 종종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때마다
소수
의 아름다움에 대해 연설한다. 메이나드 교수는 2022년 필즈상 시상식 당시 와의 인터뷰에서 “열정적이고 또 열정적인 수학자로 기억됐으면 좋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는데, 그의 앞으로의 연구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우리에게 익숙한 수학자의 이름이 등장하는
소수
도 있다. 두 자연수의 제곱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소수
를 ‘피타고라스
소수
’라고 한다. 예 ... 수학에서
소수
를 발견할 수 있을지 궁금하지 않는가? 만약 내가 최초로 발견한 어떤 형태의
소수
가 있다면 자신의 이름을 붙일지도 모른다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한다. 예를 들어 RSA 암호는 두
소수
(예로 11과 19)를 암호를 푸는 비밀키로 이용하고 두
소수
를 곱해서 나온 수(209)를 공개키로 이용한다. 그러면 비밀키에서 공개키를 구하는 건 쉽지만, 공개키에서 비밀키를 구하는 건 어려운 일방향성이 생긴다. 물론 실제 RSA 암호에서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을 한다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공통점만으로 백조 찾을까? 미운 오리 새끼 정리 안데르센의 동화 는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새끼 오리와 새끼 백조가 비슷한 데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생김새가 조금 다르긴 하지만 오리가 아니라고 하기에는 너무 오리같이 생긴 것이다. 이처럼 구별되지 않을 정도로 비슷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공처럼 둥근 자세를 취하고 있는 고양이의 털을 가마가 생기지 않도록 빗을 수 있을까? 놀랍게도 이 엉뚱한 질문을 19세기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와 독일 수학자 하인츠 호프가 연구했다. 가마는 털이 한 점을 중심으로 빙 돌아서 나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된 부분이다. 물론 두 수학자가 고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치타는 잘은 점박이 무늬이고, 호랑이는 길쭉한 줄무늬다. 얼룩소는 점박이긴 하지만 치타와는 다른 큰 점박이 무늬다. 이처럼 동물마다 무늬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1952년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은 동물무늬 패턴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보고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즉 동물무늬 패턴을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두 발로 걷는 사람에서부터 354개나 되는 다리를 가진 지네까지 모든 육상 동물은 땅 위에 흔적을 남긴다. 수학자들은 마치 탐정처럼 동물의 발자국과 걸음걸이 패턴에서도 수학적인 규칙을 찾는다. 걸음걸이는 보통 한 방향을 향하며, 그 모양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수학자들은 이처럼 한 방향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저항성을 획득한 방법은 돌연변이입니다. 일반 빈대와 다르게 살충제에 저항성을 가진
소수
의 돌연변이가 번식해 자손을 퍼트린 거죠. 이 교수팀은 2008년, 존 마샬 클라크 미국 매사추세츠대 환경 독성학 및 화학과 교수팀과 함께 나트륨 채널에 돌연변이가 있는 빈대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있는’ 선택지가 된다. 반면 한국은 의사과학자의 진로가 불투명해, 연구에 열정이 있는
소수
의 의대 학생들이 하는 ‘도전’으로 남고 있다.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 의전원을 꿈꾸는 이유 한국의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은 2019년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함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