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도"(으)로 총 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쿼크, 중성미자 등 표준모형이 낳은 ‘제품’은 수없이 많고, 여기서 나온 노벨물리학상도 무려 19개나 된다. ‘히트상품 제조기’라고 부를 만하다. 하지만 그렇게 ‘상품’ 속에 묻히기에는 뭔가 많이 아쉽다. 표준모형은 그 자체만으로도 아주 매력적이고,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최신 전자기기에 꼭 필요한 중요한 물질을 만들어냈고, 이 연구로 2010년 노벨 물리학상도 받게 되었답니다.매년 가을이 되면 노벨상이 화제야. 하지만 과학자들이 노벨상을 받기 위해 연구를 하는 건 아냐. 과학자의 연구가 세상을 바꾸고, 그 연구의 가치는 노벨상 수상으로 더욱 인정받게 되는 ... ...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사고를 계기로 만들어졌어. 당시 에너지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서울 동작구 상도동의 성대골 마을 사람들이 모여 ‘절전소 운동’을 시작했단다. 절전소라는 말은 에너지 절약이 곧 에너지 생산(발전소)이라는 의미야. 마을 사람들에게 에너지 절약에 대한 교육을 하고, 매달 각 가정에서 사용한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 가지 소재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융합적 사고력을 기르게 된다”고 말했다.상도 일부 학생에게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참가한 많은 학생들에게 골고루 돌아간다. 객관식과 주관식, 실험 시험을 개별적으로 평가해 점수에 따라 금상과 은상, 동상을 수여하고, 총점을 기준으로 또 한번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다른 방법이 없을까.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테라 위성에 탑재된 모디스(MODIS)는 중해상도 분광기다. 모디스는 36개 파장의 빛으로 지구를 찍어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지구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적외선을 쏘면 지표 온도, 해수면, 식생지수 등을 알 수 있다. 식생지수는 적외선과 근적외선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래 온코타입)’를 개발한 공로로 ‘유방암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코멘 브린커상도 2010년 받았다. 이 검사는 내 몸에 있는 유전자 21개를 분석해 유방암이 어떻게 진행될지 예측하는 기법이다. 항암제를 맞지 않아도 되는 유방암 환자 절반을 골라낼 수 있다. 미국에서만 매년 7만 명이 이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투명 전극, 저장장치 같은 게 좋은 예겠죠. 누가 알아요, 정말 10년 뒤에 그 성과로 노벨상도 받게 될지. 그런데 똑같은 연구 한다고 연구비 안 줄까봐 걱정이에요. 어쨌든 논문이 아니라 진짜 좋은 연구에 집중할 겁니다.” 찰스 리(45, 한국이름 이장철) 미국 잭슨랩 유전체의학연구소장의 업적은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면서 간접적으로 그 사회에 가까이 갈 수 있었습니다. 대본은 인터넷에 있고, 영상도 구할 수 있으니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는 ‘모던 패밀리’라는 미국 드라마를 추천했다. 시트콤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보기에도 재미있고, 또 일상에서 쓰는 용어가 나오기 때문에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설명했다. 이곳에서 연구센터가 이뤄낸 대표적인 성과는 역시 2008년 국가과학기술 100선 상도 받은 ‘흑진주 대량 생산기술’이다. 미크로네시아연방의 애로사업이었는데 이곳에 와서 만난 주지사의 첫 마디도 흑진주 양식 기술을 개발해 달라는 것이었다. 보란 듯이 성공하니까 이 나라에도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라고 연구하지 않았어요. DNA인트론과 접합 메커니즘을 발견한 뒤로도 16년동안 아무 상도 못 받았지만 개의치 않았어요. 내가 하는 연구가 재미있었으니까요. 연구가 취미가 되는 순간 정말 행복한 삶이 펼쳐질 거라고 학생들에게 늘 이야기합니다.”로버츠 박사는 자신이 상을 받을 거라는 생각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