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막
d라이브러리
"
불모지
"(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돈의 흐름' 쫓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리고 지난해 한국채권평가에 입사하며 금융업계에 데뷔했다.그는 “아직 금융공학의
불모지
나 다름없는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손해 보지 않는 거래를 하려면 뛰어난 금융공학자가 많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하며 “우리나라 경제규모에 맞는 선진 금융환경을 만드는데 일조 하겠다”는 각오를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일본 등에서 과학적으로 가능하다는 정도만 확인된 상태였다. 한국은 핵융합 연구의
불모지
나 다름없었다. 나라 살림이 어려워지면서 일각에서는 돈이 많이 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기술에 대한 확신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KSTAR 프로젝트를 중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핵융합연구센터 이경수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한민구(59) 교수에게 ‘축복받은 공학인’ 인터뷰를 청하자 나온 첫마디다. LCD 산업의
불모지
였던 대한민국이 짧은 기간에 원천기술을 보유한 선진국과 격차를 줄여 당당히 세계 1위를 차지한 사실이 한 교수에게는 꿈만 같은 모양이다.요즘 뜨는 3세대 휴대전화, 현대인의 필수품이 돼버린 노트북 ... ...
40년 정밀화학계 기술리더 이부섭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발포제에 대한 자랑을 먼저 꺼냈다. 동진쎄미켐은 1960년대 말부터 정밀화학공학의
불모지
에서 우리만의 기술로 발포제를 비롯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공정재료를 국산화하며 선진국업체와 어깨를 나란히 해왔다. ‘기술로 리드하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는 게 평소 이 회장의 지론이다.이 회장은 ... ...
어과동과 함께 월드컵 역사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디에고 마라도나가 전성기를 달리던 우승 후보 1순위였다. 반면에 카메룬은 축구
불모지
로 여겨졌던 아프리카의 조그만 나라였고 어느 누구도 카메룬이 아르헨티나를 이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경기가 벌어지자 아르헨티나는 압도적으로 밀어붙였고 카메룬은 2명의 선수가 퇴장 당하는 악조건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맡았다. 초전도연구단은 9년간 매년 6, 7억원을 지원받으며 순수 국내 기술로 초전도
불모지
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이 교수는 “10년 전 무명이던 우리 연구단이 이제 세계 초전도 연구분야에서 선두 그룹이 됐다”고 자랑했다. 그는 올해 초전도 분야의 업적으로 제10회 한국과학상을 받았으며, ... ...
기술이 과학의 진보를 이끌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과학연구의 전통이 발전한 과정을 조명한다.11세기까지만 해도 경제적, 기술적 측면에서
불모지
나 다름없던 유럽은 고밀도 농업 방식이 정착된 뒤 복잡한 기계장치와 동력원에 대한 개발이 급속도로 진전하면서 역사의 주도권을 잡게 됐다. 저자들은 그 이유를 16, 17세기 유럽의 과학혁명에서 찾고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와 I-)와 중성원자인 공유결합상태(Na와 I)가 섞여 있어 매우 복잡하다.김 교수는 국내에서
불모지
나 다름없던 이 분야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 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국화학학회지(JACS)에 매년 평균 3~4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최근 3년간 JACS에 발표한 논문은 12편. 이 중 2편은 관련 분야에서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박사가 국가정보원과 외계인이 등장하는 과학소설(SF) ‘코리안 페스트’를 집필했다. SF
불모지
에서 나름대로 참신한 시도였다.물론 SF 이외에 다른 책도 많이 냈다. 별과 우주를 다룬 천문학 교과서에서부터 블랙홀에 대한 흥미로운 교양서 ‘블랙홀이 불쑥불쑥’까지 다양한 책을 썼다. 어렸을 때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출력 자유전자레이저가 으뜸그간 테라헤르츠파 연구가 오랫동안
불모지
로 남아있었던 가장 주된 이유는 광원 때문이다. 높은 출력을 내면서도 넓은 대역의 테라헤르츠파를 발생시키는 쓸만한 광원을 개발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파와 가시광선 대역의 중간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