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비물"(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헷갈린 과학] 라쿤 VS 너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상대를 만나면 빠르게 도망가지 못하고 죽은 척을 하지요. 가끔은 고약한 냄새가 나는 분비물을 뿌리고 도망가기도 한답니다.너구리는 개과 동물 중 유일하게 겨울잠을 자는 동물이에요. 추운 겨울에는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땅굴 속에서 겨울잠을 자며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이는 거예요. 11월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안쪽 분비샘에서 나오는데 그 자체로는 원료물질일 뿐 아직 활성화된 독이 아니다. 이 분비물을 입으로 옮겨 침과 섞어야 비로소 독이 활성화된다. 느림보원숭이는 이렇게 만든 독 물질을 빗처럼 생긴 아래쪽 이빨을 이용해 털에 발라서 사용한다.흥미로운 건, 독의 정확한 용도가 미스터리라는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뒤 삼키죠. 통째로 삼켜도 다 소화를 시킬 정도로 내장 또한 유연하고, 소화에 적합한 내분비물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조이는 힘이 굉장히 강력합니다. 그래서 설사 호랑이나 매에게 먼저 물린다고 해도 불리하지만은 않습니다. 물린 채로 몸통을 상대방의 목이나, 흉부를 감아 강력하게 조일 수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비말 : 지름이 5㎛인 물방울을 뜻하는 단어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침 등의 분비물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기침을 하면 비말은 2m 정도 날아간다.변이가 쉬운 RNA바이러스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어떻게 저장하느냐에 따라 DNA바이러스와 RNA바이러스로 나뉘어요.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막을 수도 있을 터였다.크레이그 교수는 1967년 비밀을 풀 실험을 계획했다. 수컷의 여러 분비물을 생성기관별로 나눠서 각각을 모기 암컷에게 주입하는 것이었다. 실험 결과 수컷의 부생식샘(Inside 참조)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암컷에 교미 지연을 일으켰다. 부생식샘은 ‘정자를 제외한 정액’을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시에는 맞춤 항체를 만들 수 있다. 면역세포가 없는 식물도 병원균에 따라 체내의 화학적 분비물을 바꾸는 등 나름의 기억 면역체계를 갖고 있다. 식물의 기억 면역이 동물보다 뛰어난 점은 기억이 대를 이어서 유전된다는 것이다.식물이 면역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면역을 담당하는 PR단백질 유전자 ...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하지만 나머지 40%는 3일 동안 거의 움직임이 없었다. 특정 개미 종은 쉬면서도 체내에서 분비물을 만들어 집단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번에 실험한 종은 그런 특성도 없었다. 샤르본 박사는 게으른 개미가 남들보다 더 늙어 기력이 떨어진 개미라고 예상했다. 반면 독일 레겐스부르크대 토머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droplet infection)’이다. 비말은 날아 흩어지는 물방울로 침이나 눈물 등 사람의 분비물이 이에 해당한다. 감염자의 비말이 직접 입이나 코로 들어와 감염되는 경우도 있고, 비말이 묻은 물건, 매개물을 통해 전염될 수도 있다. 문제는 지름이 5μm(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아노박테리아(청세균)라는 미생물이 만드는 암석이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주위에 분비물을 내어서 생물막(biofilm)을 만드는데, 이 때 물에 있는 칼슘 등의 광물질이 퇴적되면서 생물막이 딱딱한 구조물로 변한다. 새로 번식하는 박테리아가 기존의 생물막 바깥에 붙으면서 이 구조물이 점점 ... ...
- 파충류의 속사정 ②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안면'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파리는 동물의 얼 굴에 붙어서 눈과 코에 나오는 분비물을 먹고 살아간 다. 이들을 먹어야 하는 아가마도마뱀은 생존을 위해 다른 동물의 얼굴 가까이에 접근해야만 하는데, 하필 이 동물들이 대부분 몸집이 크고 위험한 녀석들이다. 초원에서 풀을 뜯는 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