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르는 값"(으)로 총 2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질량은 어떤 물체에 포함된 물질의 양으로, 어느 곳에서든 변하지 않는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답니다. 또 무게와 질량은 비례하기 때문에 질량을 ... 없네.”“우리 각자 길을 찾아보고, 무언가를 찾으면 큰 소리로 서로를 부르는 건 어때?”친구들은 모두 다른 방향으로 흩어져 그곳에서 벗어날 길을 ... ...
- 괴짜 수학자의 실험 일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구할 때 컴퓨터는 거대한 행렬을 포함한 계산을 거쳐 ‘고유치’라 부르는 해를 구해야 한다. 이 해가 언제나 존재한다는 사실은 바로 페론 ... 곳곳의 성질이 바뀌지만 위상수학은 그럼에도 절대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값을 연구한다. 따라서 도형의 성질을 다루는 기하학은 위상수학과 떼려야 뗄 수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5℃(78K)의 온도 조건을 만들어 주면 그 안에서 ‘카이럴 솔리톤’이라고 부르는 양자상태가 나타난다.김 교수는 실험실 한쪽에 있는 컴퓨터 모니터에 ... 82쪽 위 그림 참고). 두 개의 인접한 원자선에서는 총 세 가지의 위상전하 값(-1, 1, -2 또는 2)을 갖는 카이럴 솔리톤이 나온다.김 교수는 같은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먼 은하의 후퇴 속도를 은하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으로, 우주의 팽창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허블 ... 해야 한다. 흔히 ‘평평한 람다 CDM 모델’이라고 부르는 현대표준우주모형은 암흑물질로 액시온이나 ...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구한 값이 틀렸다면) 표준우주모형이 실제 우주를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돌아가는 ‘소용돌이’가 있다. 이 소용돌이에는 ‘와인딩 수’라고 부르는 위상적 성질이 있다. 와인딩 수는 정수값인데, 이 값에 따라 소용돌이가 결정된다. 스핀의 불확실한 값을 함수로 나타낸 파동함수에서 스핀의 각도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360° 만큼 바뀌면 이때 와인딩 수는 1이 되고, 720°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제약을 받는 통신 시간을 더한 기간 동안만 이뤄질 수 있어요. 따라서 L값이 아주 작으면 이 우주에 꽤 많은 문명이 발생했다 한들 모두 외롭게 ... 했어요. 지구 문명을 되살리기로 한 거죠. 우선 지구인들이 ‘모기’라고 부르는 흡혈 곤충을 생태계에서 없애고, 자이카 바이러스와 그 돌연변이들을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건 1949년 폰 노이만에 의해서였다. 중앙제곱법은 ‘시드(seed)’라고 부르는 임의의 수를 제곱한 뒤, 나온 수의 가운데 일부분을 제곱해가며 난수를 ... 씨앗을 심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컴퓨터로 난수를 만들려면 씨앗, 시드값을 입력해야 한다. 씨앗은 어떻게 생겼고, 씨앗을 넣으면 어떤 열매가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n1+n2번을 접는 방식에 도달했다. 학생들이 ‘순차적 종이접기’라고 부르는 이 방법을 쓰면 더 작은 종이로 갤리번과 똑같은 횟수만큼 접을 수 있다!t ... 종이를 다섯 번째 접을 때 필요한 종이의 가로 길이는 n이 5일 때의 값인 64πt에서 n이 3일 때의 값인 8πt를 뺀 56πt다. 2πt만큼의 차이를 알게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가만히 떠 있게 된다.PAIR눈에 보이는 이유자기다발(Magnetic flux)이라고 부르는 양이 있다. 보통 그리스 문자Φ로 적는데, 면적이 Ѕ인 영역을 세기가 В인 자기장이 통과할 때, 자기다발은 두 값을 곱한 양(Φ=ВЅ)으로 정의한다. 고전역학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면적과 자기장이 모두 연속적인 값이므로 그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톰슨의 전자호박이 띠는 전기를 음으로, 유리가 띠는 전기를 양으로 부르는 건 습관에 불과하다. 전자의 전하량을 음으로 정한 것도 그저 우연이었다. ... 전하량을 측정했다. 기름방울 여럿의 전하량을 재보면 항상 어떤 값의 정수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밀리컨은 이를 통해 전자의 기본 전하량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