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대"(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 사실은 우연한 기회에 법의인류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됐다. 10여 년 전 미군 부대의 한 창고에서 엑스선 필름이 무더기로 발견됐다. 1940년대부터 미군들은 결핵 검사를 위해 의무적으로 흉부 엑스선을 찍어야 했는데, 이때 촬영한 필름 원본이었다. 이 필름은 60여 년이 지나도록 고스란히 창고에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분석하는 ‘다중신호 천문학’ 분야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KAIST 홍보대사인 ‘카이누리’ 학생들이 직접 전공을 소개한 이공계 진로탐험과,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과 직접 게임 대결을 펼치는 김경중 세종대 교수팀의 프로그램에는 본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충 제비집 지을 공간을 1년간 확보하는 데 500만 원이 든다고 보고, 인건비나 부대 비용으로 또 한 500만 원쯤 든다고 보면 투자액수는 1000만 원이고. 제비가 집 지을 확률은 1000분의 1, 다칠 확률은 500분의 1로 잡고, 돌아올 확률은 십분의 일, 박씨를 물고 올 확률은 20만분의 1, 박씨가 잘 자라나서 ... ...
- [Editor’s Note] 섞임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올해는 인공지능과 중력파, 우주의학, 원소과학 등 주목 받는 과학 분야 강연 9개와 부대행사를 마련했다. 그 분야를 직접 연구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강연자들이 참여하는데다 모든 강연을 무료로 들을 수 있다 보니, 참여 희망자가 장소가 포용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섰다. 그래서 안전과 강연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등 보안성이 좋기로 유명한 메신저들도 스파이앱 앞에서는 맥을 추리지 못했다. 박 부대표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볼 수 있으니 어떻게 메시지를 암호화하든 무용지물”이라고 말했다.카카오톡의 비밀 채팅이나 텔레그램은 ‘종단 간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70쪽 박스 참조). 메시지를 도청하는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올라오는 장화를 신고, 머리에는 흰 망을 썼다. 마스크를 귀에 걸고 코끝까지 올려 썼다. 부대에 방금 온 이등병처럼 기자도 선배를 흘겨보며 비슷한 차림새를 갖췄다. 얕은 계단을 올라 문을 열고 들어서자 벽면에 크게 걸린 귀여운 돼지캐릭터들이 보였다. 장소가 장소인지라, ‘맛있는 고기를 ... ...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식중독 원인균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을 수 시간 내로 진단할 수 있는 다중유전자증폭(multiplex PCR) 키트를 개발했다고 3월 7일 밝혔다.이번에 개발된 키트는 식중독 원인균인 황색포도알균이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2년부터 지금까지 33마리의 복제견을 만들어 소방서와 군부대 등으로 보냈다. 올해 태어난 5마리는 공군과 경찰청, 관세청에 추가로 보낼 예정이다.남윤석 국립축산과학원 연구원이 탈핵된 난자에 복제할 개의 체세포를 주입하고 있다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브이패스(V-PASS)를 수거해 사고원인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 해경 수중과학수사대는 특수부대와 구조대에서 뼈가 굵은 잠수 베테랑들로 이뤄져있다. 이들은 최대 5노트(초속 2.6m)에 이르는 강한 조류를 만들 수 있는 해양경비안전교육원 잠수훈련장에서 훈련을 한다. 신 경위는 “똑같은 바다는 ... ...
- [특별기획] 2016 태국 탐사대 따뜻한 겨울 바다에서 자연을 배우다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섬은 듀공이 좋아하는 해초가 풍부하다. 섬 끝자락에 있는 약 111m 높이의 바투부대 언덕에서는 해초를 먹으러 오는 듀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듀공이 고작 160마리 정도밖에 남지 않아, 최근에는 일주일에 한 번 보기도 어려워졌다. 20분 넘게 기다려도 듀공이 나타나지 않자 탐사대원들은 발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