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대기
뻔대기
뻔데기
애벌레
d라이브러리
"
번데기
"(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해. 한번은 식용으로 먹는
번데기
가 굼벵이라고 하는 사람도 봤어(
번데기
는 누에나방의
번데기
야!).우리나라에서 굼벵이는 흰점박이 꽃무지의 애벌레야. 풍뎅이과 애벌레 중 등으로 기어다니는 애벌레를 굼벵이라고 하는데, 현재까지 발견된 풍뎅이과 곤충 중에서 흰점박이 꽃무지 애벌레만이 ... ...
‘킬 빌’ 닮은 말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발표했다. 태국에서 1종, 파푸아뉴기니에서 2종이다.기생 말벌은 다른 곤충의 알이나
번데기
에 알을 낳는다.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는 천천히 숙주를 파먹으며 성장한 뒤, 성충이 되면 빈 껍데기만 남은 숙주를 뚫고 나온다. 다른 곤충에 기생하지만 이를 통해 곤충 개체수를 조절하는 데 큰 영향을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세포는 어느 정도 성장하다가 갑자기 2개의 서로 다른 세포로 분열한다. 또한 알에서
번데기
, 유충, 나비가 되는 생물의 형태 변화 과정에서도 한 형태에서 갑자기 완전히 다른 형태로 급격하게 변하는 카타스트로피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처럼 카타스트로피 이론은 갑작스러운 생명체의 변화를 ... ...
장수하늘소 인공증식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장수하늘소 암수 한 쌍을 짝지어 알을 낳게 한 다음, 거기서 태어난 애벌레가
번데기
를 거쳐 성충이 되기까지 키우는 과정을 말해요. 천연기념물 제218호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는 일에 성공한 사람은 강원 영월곤충박물관의 이대암 관장이에요. 이 관장은 2008년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칩을 신체 일부로 인식하도록 만들기 위해 애벌레가
번데기
로 변할 때 칩을 이식했다.
번데기
가 커지면서 이식 부위의 상처가 아물고 동시에 칩이 신체의 일부인 것처럼 느끼도록 시도했다.DARPA는 곤충 실험에 앞서 상어를 조종하는 연구를 검토하기도 했다. 상어의 뇌에 전극을 심어 원격 조종하는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린이과학동아’로 연락 주세요~! 이젠 날아야 할 시간합다리나무 잎에 달린 조그만
번데기
에서 푸른큰수리팔랑나비가 나와 날개를 펴고 있어요. 푸른큰수리팔랑나비는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며 날개의 끝부분에 있는 노란색 무늬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나무숲 개울가 주변에 주로 ... ...
법도 좋아 ! 만화는 더 좋아! 이영욱 변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1호
프레드릭 백)백설공주(디즈니)신데렐라(디즈니)가장 좋아하는 만화책오성과 한음(박수동)
번데기
야구단(박수동)홍길동(박수동)무당거미(허영만)각시탈(허영만)성냥팔이 소녀(안데르센)둘리틀 선생의 모험 시리즈(휴 로프팅)매번 마감 때면 너무 바빠서 ‘내가 왜 이러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나비의 생애주기를 실험하기 위해서다. 국제우주정거장에 도착한 애벌레는 11월 24일
번데기
가 됐고, 30일이 되자 허물을 벗고 나비가 됐다. 당시 지구에서는 초·중등학생 12만 명과 교사 2800명이 똑같은 나비를 키우며 비교했다. 비교 결과, 드러난 차이점은 단 한 가지. 지구에서 허물을 벗은 나비는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땅에서 10~20cm의 깊이로 판 구멍에 나무껍질이나 풀로 그늘진 은신처를 만든 뒤
번데기
나 애벌레를 묻는다. 자연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다.애벌레와 어른벌레는 정말 같은 종일까변태를 진행하는 곤충들을 보고 있노라면 애벌레와 어른 벌레가 완전히 분리된 두 종으로 보인다.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호랑나비과 애벌레들을 키우면서 기후변화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들의 월동
번데기
가 겨울을 나고 봄에 날개를 달고 나오는 최초의 시점과 가장 많이 나오는 때를 조사해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 생태계의 변화를 5년째 연구하고 있다. 지구가 따뜻해지면 봄이 일찍 찾아오고 가을이 늦게 간다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