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d라이브러리
"
밭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충 잡는 별별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체온 조절 기능을 잃으면서 내뿜는 근적외선의 양이 줄어들어요. 즉, 근적외선 카메라로
밭
을 촬영했을 때, 어두운 부분이 보인다면 해충에게 공격당한 장소인 거죠. Q 지금 만드는 위성의 특징은 무엇인가요?700km 상공에 떠 있는 인공위성이 해충 피해를 탐지하려면 고화질의 사진을 찍어야 해요.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닌텐도 스위치)의 화면 위에 골대를 세울 거예요. 그리고 버튼을 누르면 골대 아래 잔디
밭
에 뚫어놓은 구멍으로 빛이 반짝이면서 공의 방향을 보여주도록 만드는 거죠. 그러려면 Toy-Con(토이콘) 창고에서 스위치의 화면이 빛나도록 코딩해야 해요. 함께 승부차기 게임을 만들어 볼까요? ● 'AND'의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당연히 처음 들어보는 기괴한 이름입니다. 우선 호미는 익히 들어본 물건입니다. 논이나
밭
을 맬 때 손에 들고 사용하는 물건이죠. 여기에 ‘머신’이라는 단어가 뒤에 붙었습니다. 이 말은 호미질을 기계화 또는 자동화를 시킨다는 얘기 같네요. 간단하게 추론해보자면, 호미에 기계장치를 붙여서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지렁이는 두더지가 이동할 때 생기는 진동이 감지되면 땅 위로 올라간다. 최 박사는 “
밭
에서 호미로 땅을 두드리면 지렁이가 많이 올라오는데, 지렁이가 호미의 진동을 천적인 두더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다윈은 1881년 ‘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The Formation of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지렁이는 두더지가 이동할 때 생기는 진동이 감지되면 땅 위로 올라간다. 최 박사는 “
밭
에서 호미로 땅을 두드리면 지렁이가 많이 올라오는데, 지렁이가 호미의 진동을 천적인 두더지의 움직임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다윈은 1881년 ‘지렁이의 활동과 분변토의 형성(The Formation of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올해 초 금개구리 번식에 성공했다. 금개구리는 우리나라 서남부의 대규모 농경지나
밭
에서 주로 서식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충남 아산시 부근 논에서 복원을 위한 금개구리 성체를 확보했다.그는 확보한 성체로 금개구리의 자연번식에 성공했다. 금개구리는 4월경 교배를 하고 알을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우선 조사 장소 주변을 걸어 다니면서 눈으로 흔적을 찾아봐요. 예를 들어, 유적 주위
밭
의 고랑을 살펴보면 땅을 갈아엎으면서 올라온 토기 조각을 찾을 수도 있거든요.하지만 이 방법만으로는 유적을 발견하기 쉽지 않아요. 유적이 땅속 깊이 묻혀있다면요? 혹은 사막이나 밀림처럼 넓은 지역에서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절단 집합’을 설명하기 위해 잔디에 물을 주는 상황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물이 잔디
밭
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려면 어느 꼭지를 잠가야 할지 선택하는 겁니다. 1개만 잠가서 도달하지 못하게 하려면 A를 잠그면 되고 2개를 잠근다면 A와 아무 다른 꼭지를 선택하거나 B, C를 선택하면 되겠죠. 이처럼 ... ...
[식물 속 동물 찾기] 바퀴벌레처럼 강한 생명력! 쇠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붙었다는 유래도 전해져요. 농부들은 쇠뜨기 탓에 애를 먹는다고 해요. 쇠뜨기가 논과
밭
에 뿌리를 내리면 그 깊이가 땅 아래 50cm까지 달하기도 하거든요. 아무리 뽑아도 다시 자라나 농작물에 필요한 양분과 물을 빼앗아 먹지요. 또 쇠뜨기가 포함된 속새과 식물은 약 2억 5000만 년 전 후기 고생대에 ... ...
[지구사랑탐사대] 신입팀이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은? HELE-B4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종 중 5종을 수료했어요. 그 비결이 무엇인가요? 우리 가족이 사는 용인시 포곡읍은 논과
밭
이 많고 경안천이 있어서 생물이 살기 좋은 환경이에요. 덕분에 어렵지 않게 다양한 생물을 만날 수 있었지요. 하지만 만나는 데 그치지 않고 기록을 남기는 게 중요했기 때문에 온 가족이 틈틈이 탐사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