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밤"(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사탐 박쥐 연구자, 류흥진 박사의 수상 소식을 전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14~16종의 박쥐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류 박사는 2021년 제주도에서 ‘국제 박쥐의 밤’ 행사를 진행하며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제주도 동굴에 사는 박쥐를 조사하는 등 시민과학을 활용한 박쥐 연구를 이어갔지요. 류 박사는 이번 수상으로 와일드라이프 어쿠스틱스에서 박쥐의 초음파를 ... ...
- [현장취재①] 야생동물의 천국, 야쿠시마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바다거북 관찰회 지구사랑탐사대의 탐사 열정은 한밤중에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캄캄한 밤에만 열리는 ‘바다거북 관찰회’가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죠. 야쿠시마 바다거북관에 따르면 매년 5월에서 8월 사이 일본에 상륙하는 붉은바다거북 중 절반 정도가 야쿠시마에서 산란을 해요. ... ...
- [출동, 슈퍼M] 알찬 계획표, 어떻게 만드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그 다음 한 바퀴를 도는 낮 12시에서 밤 12시까지를 ‘오후’라고 하지요. 오후 1시부터 밤 12시까지는 13~24시로 나타내기도 해요. 그런데, 생활계획표에는 시계와 달리 시곗바늘이 없어서 12칸으로 나누면 나머지 12시간에 대한 계획을 채워 넣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생활계획표를 그리려면 원을 1 ... ...
- 분동이와 분나의 우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집으로 살금살금 출발했어요. 다음 날에도, 또 그 다음 날에도 분나와 분동이는 매일 밤마다 서로의 집에 쌀가루와 물, 우유를 조금씩 가져다 놓곤 했지요. 아주 몰래, 서로에게 들키지 않게 조심하면서요 ... ...
- 그동안 재료를 가져다준 게 너였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남겨두고 떡을 만들어야겠어! 만드는 김에 분동이에게도 가져다줘야지~!” 그날 밤, 분동이와 분나는 감사한 분에게 드릴 것을 남겨두고는 서로에게 줄 빵과 떡을 지게에 싣고 길을 나섰어요. 절반 정도 지났을 때, ‘꽈당’ 누군가와 부딪혔어요. 고개를 들어 살펴보니 분나 앞에는 분동이가,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내부도 곳곳이 파손돼 있었습니다. “지난달, 요란하게 소나기가 오던 날 기억하시죠? 밤하늘이 번쩍번쩍하더니 동시에 TV가 탁하고 꺼지더라고요. 어디선가 갈라지는 소리가 나서 주변을 둘러보니 불에 타는 듯한 냄새까지 났어요. 알고 보니 집에 벼락이 떨어진 거였죠”당시를 회상하던 첫째 ... ...
- [가상인터뷰]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해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어둑한 밤, 짝짓기를 하는 고양이의 울음 소리를 들어본 적 있어? 최근 길고양이 개체수가 많아 이를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이를 위한 안전한 방법이 개발됐다는데? 일리가 취재했어. Q. 자기소개 부탁해.A. 나는 길고양이야. 전 세계 고양이 6억 마리 중 80%가 나처럼 길에서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를 지구로 가져올 수 있을까요?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면 낮과 밤, 날씨에 상관없이 24시간 내내 태양 에너지로 전기를 만들 수 있어요. 햇빛을 반사하는 구름이 없어 훨씬 큰 에너지를 받을 수 있지요. 하지만 우주에서 만든 전기 에너지를 먼 거리의 지구로 보내는 것이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위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북극성 덕분에 오래전부터 알았다. 밤하늘의 북극성이 지표면 가까이 보일수록 북극에서 멀어져 적도 쪽으로 가는 것이다. 하지만 정확한 경도를 파악하는 방법은 찾아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정밀한 시계 기술의 등장과 함께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잠시, 13일간의 탐사를 이어가던 찬드라얀 3호는 기온이 영하 100℃까지 떨어지는 달의 긴 밤에서 깨지 못했다. ⑨ 스마트 변기 개발한 한국 연구자, 이그노벨상 수상변기로 떨어지는 대소변을 스캔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추측할 수 있는 ‘스마트 변기’를 개발한 공로로 박승민 싱가포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