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손해를 입었다. 이 때문에 할리우드 대형 영화 제작사인 ‘워너 브라더스’는 2020년부터
미국
AI 기술 회사인 시네리틱과 손을 잡았다. 시네리틱은 영화 주제, 출연 배우 등에 따른 기존 흥행 데이터를 학습시켜 관객 수나 수익 등을 예측하는 AI 모형을 만들었고, 워너 브라더스는 이 모형을 참고해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만 알아보는 방정식을 만든 과학자도 있다. 2013년 캐나다계
미국
천문학자 사라 시거는 생명체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는 행성의 수를 구하는 일명 ‘시거 방정식’을 발표했다. 별이 행성을 거느리려면 태양보다 크기가 크지 않고 온도도 높지 않아야 한다. 이런 별을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비밀’을 털어놨다. 그가 처음부터 화학 전도사에 뜻이 있었던 건 아니다. 여 교수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화학 박사를 취득한 뒤 한국에너지연구소(현재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동국대 화학과로 옮겨 31년을 지냈다. “시작은 우연이었어요. 교수가 되고 연구를 하려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죠. 그 일상을 독자 여러분과 함께 나눌 수 있어서 기쁩니다.”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다양한 계정이 있는 덕분에 온갖 아름답고 거대한 천문 사진을 접하기는 쉽다. 우주의 무수한 모습들 중에서 365장의 의미 있는 사진을 선택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는 ... ...
[만화뉴스]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선발 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처음 시작됐어요. 잔디밭을 꾸미는 데 쓰이는 많은 양의 물을 아끼자는 취지예요. 이후
미국
의 영화배우이자 환경운동가인 쉐일린 우들리가 대회에 참가하며, 전 세계에서 참가가 가능한 대회가 됐어요. 환경을 생각한 대회인 만큼 우승 상품은 전년도 우승자가 입던 티셔츠랍니다 ... ...
[숫자로 보는 뉴스] 1초에 몸길이 100배 간다! 물맴이의 수영 비결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나온
미국
의 카엘렙 드레셀 선수인데, 1초 동안 자기 키의 1.24배만큼을 갔어요.
미국
코넬대학교 크리스 로 교수는 “물맴이가 빠르게 수영하는 비결을 배나 로봇에 적용한다면, 물속에서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을 거예요”라고 말했어요. ●한단계 더~!그동안 물맴이는 다리를 뒤로 밀어내며 ... ...
[과학뉴스]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세계 첫 민간 달 착륙 성공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페레그린은 연료 문제로 달 착륙을 시도하지 못했다. 오디세우스의 달 착륙 성공으로
미국
은 52년 만에 자국의 착륙선을 또다시 달에 내려 보내는 데 성공했다. 조엘 케언스 NASA 과학 임무국 탐사 부국장은 기자회견에서 “달에 부드럽게 착륙했다는 건 매우 큰 성취”라며 “이번 미션을 통해 얻은 ... ...
해양오염 지역 밝히는 에르고딕 이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모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닷속 탄소량 이대로 증가하면 2100년 대량 멸종 2017년
미국
지구물리학자 다니엘 로스먼은 바닷속 탄소량 변화를 토대로 2100년을 기점으로 공룡 멸종과 같은 대량 멸종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로스먼은 먼저 5억 4200만 년 동안 바닷속 탄소량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판게아가 있었던 자리인 적도를 중심으로 초대륙이 펼쳐질 거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미국
예일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연구팀은 그전에 있었던 초대륙이 현재의 세계 대륙과 전혀 다른 위치에서 생겼다가 쪼개졌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리고 암석의 자기 정보를 관찰해 지금까지 나타났던 초대륙이 ... ...
수학은 명탐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이는 야생 동물의 먹이 탐색 경로, 대도시의 유동 인구 등을 예측할 때 쓰인다. 연구팀은
미국
에서 일어난 절도 사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일부 지역의 범죄율이 특히 높은 것을 확인했다. 이에 연구팀은 레비 플라이트를 기반으로 절도범이 이 지역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한다고 가정했다. 실제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