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그 다음에 이어질 적절한 행동을 찾아 하나씩 수행한다. 팜-세이캔 모델처럼 알아서 목표를 찾고 수행 순서를 정한다면 어떤 임무에도 적용이 가능해, 범용 AI 로봇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완벽하게 인간을 닮은 로봇 개발까지 가는 길 위에서 AI와 로봇공학의 위치를 보면, 로봇공학이 AI보다 뒤쳐진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용자를 법적으로 도울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법률 AI를 폭넓게 지칭한다. 법률 AI의 목표는 과거의 사법시험이나 현재의 변호사시험을 통과하는 것이었다. 변호사시험 합격은 AI가 인간 언어능력이란 오랜 장벽을 극복했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그래서 언어 지능의 완성형에 가까운 챗GPT가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도 이 우주를 이렇게 살아가고 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며 “이 작품의 최종 목표는 실제로 우주로 전송하는 것”이라고 애정을 내보였습니다. 지구 밖 누군가에게 당신이 보내고픈 메시지는? 외계 지성체는 분명 인간과는 다를 것입니다. 소통의 주요 매질이 지구의 인간처럼 공기가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왔습니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한국에선 독립국가 건설과 국가의 경제 성장이 연구의 목표였습니다. 1960년대까지는 건축, 토목, 광산학, 농학 등 국토 재건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 학문이 우선시 됐습니다. 1970년대에 중화학공업화 정책이 시행된 뒤로는 과학기술이 산업화, 공업화를 통한 경제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자가 작업하던 일에 전 세계의 공학도 수천 팀이 함께했다”고 했다. 그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여러 사람이 경쟁하는 ‘경쟁적 과학’덕에 고대 파피루스 해독이 앞당겨졌다”고 했다. 베수비오 챌린지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전 세계 참가자들의 해독 결과를 받고, 2024년 초 최종 우승자를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용자에게 최대한 편안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저희 목표입니다.” 미래 - 도금 공장에 부는 친환경 바람 “표면처리 기술은, 자동차 손잡이의 경우 내구성과 마모성, 광택은 물론 잡았을 때의 질감까지도 도금을 통해 조절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김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030년까지 전망치 대비 24.4%의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하루에 1kWh를 절약하는 구체적인 방법 김 강사는 학생들에게 풍력 발전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친환경 이동수단, 한국 에너지믹스 중 약 30%를 차지하는 원자력발전 등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단어를 입력하지 못할 확률은 0에 가까워진다는 의미다. 즉, 무한히 많은 원숭이 떼가 목표 단어를 입력할 확률은 거의 100%가 된다. 원숭이들이 완벽한 책을 쓸 일은 매우 희박하지만, 확률적으로 충분히 발생할 수도 있는 사건이라는 뜻이다. 무한 원숭이 정리, 실험 결과는? 2002년에는 영국 ... ...
- 쓸 줄 모르면 손해! 생성AI 똑똑한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활용 지문을 말해준다. 정답인 “뻘쭘하다”를 입력하면 다음 문제로 넘어간다. 오늘도 목표를 달성한 태린 양은 스스로에게 주는 보상으로 최애 아이돌 ‘투바투’ 영상을 보며 휴식을 취한다. 손주가 너무 예쁜 60대 박미연 씨의 하루 60대 박미연 씨에게 큰 고민이 있다. 바로 초등학교에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되겠다고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야만 한국의 의사과학자 양성이 본래의 목표와 계획대로 이뤄질 수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주치의였던 고 허갑범 연세대 의대 교수는 1998년 “의사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의대 개혁 및 학제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높은 부가가치를 가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