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료함"(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협력이 진화한 이유를 탐구한 윌리엄 해밀턴은 결국 다른 학자들이 상상하지 못했던 기발한 착상으로 깔끔한 ‘협력의 공식’을 완성한다. 이 공식은 ‘해밀턴의 규칙’이라고 불리며 이타성의 진화를 명쾌하게 설명해 줬다. 그 핵심을 불쌍한 수컷 칠면조의 사례와 함께 알아보자.1963년, 유니버 ...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열 개의 점 중에서 홀수점은 두 개뿐이니까, 두 홀수점 중 한 홀수점에서 한붓그리기를 시작해 다른 홀수점에서 끝나겠군.”한붓그리기에 성공하자, 쾨니히베르크에 있는 가장 큰 건물의 문이 열렸다.세상을 바꾼 사과서둘러 들어가자 긴 통로가 나왔다. 등 뒤에서 문이 닫혀 버렸지만, 저 앞에 ...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반상대성이론은 중력이론인 동시에 시간과 공간과 물질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이론의 유력한 후보다. 이때 일반적이라는 말은 모든 것을 일관되게 서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여러 다양한 현상을 하나의 이론으로 통일해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이론은 더 진리에 가깝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렇 ...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각은 오감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감각이다. 또 시각은 렌즈나 거울, 프리즘 같은 도구를 써서 왜곡시킬수 있고 신기루나 무지개처럼 자연적인 왜곡 현상도 존재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눈으로 본다는 것이 무엇인가, 빛과 시각은 어떤 관계인가 하는 질문이 고대부터 제기돼 왔다.1000년 전 이슬람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를 발견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지금까지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새로운 입자의 붕괴 현상이 처음 관측됐다. 여기에는 한국 연구진이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검출기가 큰 역할을 했다.유럽입자물리연구소 연구진은 중성 B중간자 ...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첫눈에 들어온 것은 사람 키의 2배가 넘는 대형 모터였다. 뒤로는 발전기와 배터리, 배전반과 같은 각종 전기장비들이 100m 가까이 연결돼 있었다. 프로펠러만 있었다면 진짜 잠수함 내부인 줄 착각할 뻔 했다. 9일 찾아간 경남 창원의 전기선박 육상통합시험장(LBTS, Land Based Test Site)은 실제 잠수함보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나이를 먹어가면서 종종 옹고집 노인이 되거나 혹은 스크루지 영감처럼 이기적으로 변해가는 사람들이 있다. 젊을 때는 별로 그렇지 않았는데, 점차 거만해지거나 혹은 무례해져서 주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사람도 있다. ‘노망 난 것 아니냐’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편견에 가득 찬 악 ...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병원에서 옮아… ‘2차 감염’ 심각“에볼라가 두렵지 않다면 거짓말일 겁니다. 저희(선발대)가 시에라리온 치료소를 방문한 날에도 치료소에 근무하던 의사 2명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으니까요.” 선발대를 이끌고 시에라리온에 직접 방문했던 정진규 심의관은 당시 느낌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지난 4월 22일 마이클 아티야(Michael Atiyah) 경의 85세 생일 기념 학회가 옥스퍼드에서 개최됐다. 아티야는 20세기 후반부터 영국 수학계의 대부 역할을 해오고 있는 수학자다. 이날 대수와 기하, 우주 사이의 오묘한 연결점에 대해 공상할 기회를 가졌다.아티야 생일 기념학회마이클 아티야는 미국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수학자들은 때로 수학의 어떤 정리나 증명의 구조가 ‘아름답다’고 표현한다. 어떤 뜻일까? 아름다운 정리는 아름다운 증명이 있어야 하는 걸까?소수 간격과 이탕 장지난해 ‘쌍둥이 소수 가설’이라는 어려운 문제에 대한 급격한 진전이 전세계 수학자와 일반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가설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