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투명
명석
d라이브러리
"
명료
"(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했다. 그러나 이는 그저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구였다. 다행히 우리는 도킨스 덕분에
명료
한 ‘유전자의 눈’ 관점을 얻게 되었다. 이 관점을 마음껏 적용해서 해밀턴의 규칙을 파헤쳐보자. 어떤 조건에서 이타성이 선택되는가해밀턴의 규칙은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어떤 조건에서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그래서 나는 수학의 기본부터 알기 위해 유클리드의 을 읽었지. 기하 원론은
명료
한 논리에 따라 서술된 책이었어! 이후 수학에 매력에 푹 빠지게 됐지.”“우와, 그 어려운 내용을 혼자 공부했다고요?”“응. 그리고 대학 학부 과정이 끝날 때쯤 미적분 증명을 시작했어. 휴교령으로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기초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론을 현재의 상태로 놓아 둔 채 의미를
명료
하게 밝힐 수도 있다. 하지만 새로운 이론을 만들 수도 있다. (1) 이론을 설명할 제대로 된 언어를 제시해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것, (2) 이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찾아냄으로써 측정과 관찰이 본질적인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공모에 빛의 파동론을 입증하는 논문을 제출했다. 그는 실험을 바탕으로 이끌어낸
명료
한 수학 공식과, 이를 발전시킨 물리적 모델로 심사 위원들의 흥미를 끌었다. 그중에는 대표적인 입자론자인 푸아송도 있었다. 그는 프레넬의 논문에 매료됐으면서도 파동론을 지지하는 물리적 결론에 대해서는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시그마(99.9999998%)의 정확도로 확인했다. 이는 2013년 힉스의 존재를 확인한 5시그마보다 더
명료
한 결과다. 특히 B중간자가 붕괴해 만들어진 2개의 뮤온 입자를 검출하는 데는 한국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뮤온 검출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발전기를 이용하면 가능하죠.” LBTS의 총책임자인 임근희 한국전기연구원 박사의 답은
명료
했다. 실제로 전동기 왼편 프로펠러가 있어야할 자리엔 발전기가 연결돼 있었다. 실제 잠수함에서는 전동기가 프로펠러를 돌리지만 시험장에서는 전동기가 발전기를 돌리게 돼 있다. 발전량을 보면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등에 작용하는 신경호르몬인 콜린성 신경전달물질도 많이 줄어든다. 그 결과 전처럼
명료
한 정신으로 빨리 판단하고 많은 것을 기억하기 어려워진다. 노인성 치매에 사용하는 약물의 기전은 상당히 복잡하지만, 간단히 말하면 바로 이렇게 부족해진 콜린성 물질을 보충해주는 것이다.그런데 문득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그 외의 국가들은 군대를 파견하거나 자금만 지원하고 있다.정 심의관의 대답은
명료
했다. “시에라리온에 가장 필요한 건 의사입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당면한 어려움을 헤쳐 나가기 위해 당연한 일이고 이것이 진정한 외교가 아닐까요.”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미국인 환자 4명을 모두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순수 수학적인 발전에도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오늘날 우주의 시공간적 구조에 대한
명료
한 이해는 내재 기하학의 배경 지식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가령 몇 년 전 우주론 전문가 조지 스무트가 이화여대에서 대중강연을 한 바 있는데, 관중 한 명이 ‘빅뱅 전에는 무엇이 있었느냐’는 질문을 했었다.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미학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근본적으로 발견자는 결과를 찾아내는 데에 너무나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명료
하게 글로 설명하거나 방법을 섬세하게 향상시킬 여력이 없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증명이 처음 알려지고 나서 도구를 손질하면서 강력하게 만드는 작업은 주위 수학자들의 몫이다.그런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