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매립"(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공 섬인 반면, 오사카 여행을 할 때 주로 이용하는 간사이 신공항은 흙을 덮어서 만든 매립식 인공 섬이다. 간사이 신공항의 면적은 510만3000m2으로 인천공항의 10분의 1정도의 크기다. 이 넓은 섬을 어떻게 인공적으로 바다 위에 만들었을까. 엄청난 양의 흙을 한꺼번에 쏟아 부으면 금세 땅이 될 것 ... ...
- 건전지VS충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전지는 분리수거함으로!건전지를 그냥 쓰레기통에 버릴 경우, 전지 속 물질들이 쓰레기 매립지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고 이 물질들이 지하수로 흘러들어가 주변 동물들이 병에 걸릴 수 있어요. 그리고 이 물질들은 쉽게 분해되지 않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얼마든지 인간에게 다시 돌아올 수도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공기 입자와 충돌하면서 온도를 한층 더 끌어올린다. 문제는 가격이다. 생활 쓰레기를 매립하는 비용이 보통 1t 당 4만~5만 원이라면, 일반 소각은 12만~15만 원, 플라스마 소각은 17만 원이 든다. 경제성이 없으니 포기할지, 미래를 위해 연구에 투자할지 선택은 우리의 몫이다. ● 방사성폐기물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없다. 산업폐기물에 속한다는 뜻이다. 이런 물건들이 일반 폐기물로 쓰레기 봉투에 담겨 매립돼 비를 맞으면, 독성 물질이 흘러나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인체 독성이 적은 PLA 수지도 친환경 재료라고는 보기 어렵다. 고분자가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몸 속에서 녹는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에 흥미로워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시신을 한 장소에 매립할 수 있었을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버거 박사팀은 호모 날레디에 대해 더 연구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호모 속으로 넘어가는 진화 과정을 둘러싼 베일을 한 꺼풀 벗겨낼 예정이다.▼관련기사를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엄살 좀 그만 부려!”하늘공원은 ‘쓰레기 산’ 위에 만들어진 공원입니다. 쓰레기 매립지를 안정화하는 공사로 탄생한 인공적인 땅이지요. 문제는 쓰레기가 잔뜩 묻혀 있기 때문에 쓰레기가 썩으면서 가스가 나온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월드컵공원 곳곳에는 100여 개의 가스추출정이 있습니다. ...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흙을 메워서 만드는 인공섬보다 더 많은 장소에 세울 수 있어요. 매립은 고작 수심 20~30m인 바다에서만 가능하거든요. 이에 비해 다리가 달린 인공섬은 무려 수심이 500m가 넘는 곳에도 설치할 수 있어요.또 다리를 만들면 구조물과 같은 두께의 기둥을 만들어 세우는 것보다 ... ...
- [과학뉴스] 하수처리장에서 금 캔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나오는 바이오 고형물은 매년 700만t. 이중 절반은 비료로 쓰이고 나머지는 소각하거나 매립한다. 스미스 박사는 바이오 고형물 1kg에 금, 은, 구리, 바나듐 등 재사용할 수 있는 금속이 700mg이상 들어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시민 100만 명 당 매년 1300만 달러(143억6630만 원)를 흘려 ... ...
- 자연이 주는 교훈 “Let it be!”(내버려 두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적이 있어요. 바닷물을 막아서 갯벌을 농경지나 산업용지로 쓰려고 했대요. 그러나 매립했을 때의 가치보다 보존했을 때의 가치가 훨씬 크다는 것을 알고, 지역주민과 시민단체, 그리고 순천시가 일심동체가 되어 순천만을 잘 보존해 지금은 세계에서 알아주는 관광지로, 또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말했다. 마지막으로 ‘처분’ 단계는 이렇게 만들어진 중저준위 핵폐기물을 매립하는 단계로, 폐기물 양을 크게 줄인 데다가 방사능도 떨어져 지금보다 훨씬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다.핵변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차세대 원전과 장수명 핵종 제거기술(제염기술)은 모두 현재 연구 단계다. 차세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