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뜬소리"(으)로 총 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앨리스와 모자 장수, 명탐정 오귀스트 뒤팽, 기호학자 로버트 랭던이 수학으로 뭉쳤다. 인기 소설의 주인공들인 이들은 모두 수학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있다는데…. 특히 모자 장수는 자신이 전생에 수학자였다고 주장하며, 본인이 수수께끼를 많이 아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떠들어댄다. 로버트 랭 ... ...
- 나는 뒷골목 낭만고양이 입니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안녕하세요? 밤이면 두 눈이 별이 되는 길고양이, 매력냥이랍니다.달과 별이 뜨는 뒷골목에서 살고 있고요,팍팍한 도시에서 사람들의 생선가게나 털면서 힘들게 살고 있어요.생선을 훔치다가 야단을 맞는 것이 일상인 힘겨운 삶이랍니다.그래도 어르신 고양이들은 도둑 고양이라고 불리며 사람을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백두산은 해발고도 2750m로 한반도에서 가장 높다. 백두산 윗부분은 구름이 쌓여있고 칼데라 호인 천지는 괴물이 산다고 알려졌을 만큼 신비롭다. 백두산은 예로부터 하늘과 통하는 문으로 여겨지면서 신성시됐다.일본 도쿄 근처 후지산도 마찬가지. 해발 37 ... ...
- 6화 납치된 의사 선생님을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저기! 창문이 열려 있어!”폴리스가 황급히 창문 쪽으로 달려와 밖을 살펴봤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의사 선생님은 대체 어디로 사라지신 거지?”“설마 창문으로 납치를 당하신 건…?!”폴이 불안한 얼굴로 중얼거리자 하루가 씩씩하게 말했다.“일단 방 안에 단서가 있는지 살펴보자! ...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으아아~!”거울 속으로 들어간 폴이 눈을 떠 보니 폴리스와 피타의 모습이 보였다.“시공간 우주선에 탄 것을 환영해. 이제 우린 시공간 이동 통로를 따라 어디든 갈 수 있어. 첫 여행은 임무가 아니라 가벼운 몸풀기니까 긴장 하지 마. 어딜 가 보고 싶어?”“음~, 글쎄? 100년 뒤쯤?”“100년? 훗. 한 ...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4호
- 카알의 에너지카드❶햇빛 먹고 지구 한 바퀴 돌기안녕? 나는 스위스의 라파엘 돔얀 선장이야. 선원 네 명이랑 거대한 배 ‘플래닛솔라’를 타고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성공했지. 물론 태양에너지만으로 말이야. 2010년 9월 27일 모나코에서 출발해 2012년 5월 4일까지 584일 동안 항해했어. 모나코에 ... ...
- 위대한 역사의 비밀 수학을 사랑한 王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염라! 이제 천상의 왕을 뽑아야 할 때가 됐어. 그런데 왕은 뭐니뭐니 해도 얼굴이지? 일단 잘생기면 호감이 가잖아. 나처럼.그게 말이나 돼? 결코 내가 외모에 자신이 없어서 하는 말이 아냐. 자고로 왕이란 똑똑해야지. 특히 수학을 잘해야 한다고! 나처럼.왕이면 정치지, 어떻게 수학이야? 염라, 요 ...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달을 가리는 새(삭금).’밤하늘을 나는 기러기를 옛사람들이 운치 있게 표현한 말이다. 이런 기러기를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 쇠기러기가 찾아오는 철원이나 순천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서울에서 불과 반 시간만에 찾아갈 수 있는 한강하구가 큰기러기의 천국이라는 사실은 의외로 잘 알려지지 ... ...
- 닐 암스트롱, 영원의 바다로 떠난 달의 영웅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내가 내딛는 작은 한 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커다란 도약이다. That is one small step for (a)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지구를 벗어나 다른 천체(달)에 첫발을 내딘 사람의 유명한 명언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1969년 7월 20일(한국시간 7월 21일 오전 11시 56분 20초)미국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2년 10호
- Level 1 인류와 생명1 인류의 끝 하나의 종, 인구는 70억 당신이 꿈꾸는 ‘세상의 끝’ 중 가장 간편하다. 복잡하게 세상을 다 없애지 말고, 염증을 느끼게 하는 단 하나의 종만 사라지게 하면 되지 않는가. 예를 들어 호모 사피엔스. 이 종이 잘 걸리는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강한 병원체를 만들어 슬쩍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