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쟁기
뇌물
d라이브러리
"
뇌사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사용되거나, 또는 생명유지를 위한 치료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이용돼서는 안될 것이다.
뇌사
에 대한 의학적 판정 지침"뇌간을 포함한 뇌 전체의 기능이 돌이킬 수 없이 정지된 인간은 사망한 것이다"대뇌기능의 상실 : 깊은 혼수상태에 있으며 대뇌의 무수용성과 무반응성이 있어야 한다. 의학적 ... ...
생명의 끝은 어디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부활 못지않게 준엄하게 죽을 권리를 주장하는 법학적 견해도 있다.보건복지부는 최근
뇌사
인정을 포함하는 장기이식에 관한 법률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이미 장기이식정보센터 설립비용 1억5천만원을 내년 정부예산안에 확보했으며, 공청회나 여론조사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태국이나 실론에서는 장기 기증이 비교적 보편화돼 있다. 죽게 된 사람을 위해서라면
뇌사
상태를 기다려서가 아니라 살아서 스스로 자비심을 발휘해 자신의 생명을 주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불타는 무수한 윤회의 과정 속에서 사람은 물론이고 짐승들에게까지 자신의 생명을 바쳐 ... ...
법학-죽는 사람에게도 권리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있다. 의술의 발달로 살려낼 수 있는 생명은 더 많이 살려 내야 한다. 그러나 죽어가는
뇌사
자의 생명도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한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 ...
인체 '부품'도 재활용 시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매혈까지 자행해가며 인체 부산물의 산업화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사람들은
뇌사
가 인정되면 장기밀매나 장기수급 형평상의 문제 등이 하루 아침에 말끔히 해결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장기이식이 보편화함에 따라 법망의 허술함을 틈탄 파행적 이식행위가 이전보다 더욱 극심해질 ... ...
뇌세포 몽땅 갈아끼워도 인격체에는 변동이 없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성격이 뇌로부터 나온다는 점은 모두 다 인정하는 사실이며, 최근 사망의 기준도 '
뇌사
'의 개념으로 다시 정의되고 있다. 뇌가 완전히 파괴되면 우리는 사랑하는 이에게 나의 가장 소중한 것으로 바치겠다고 맹세하던 '하트(heart)'가 아무리 잘 뛰고 있다고 하여도, 더 이상 살아 있는 사람이 아니지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안된다고 하였다.그러나 뇌파 측정만으로는 뇌간의 기능 정지를 판정 할 수 없고,
뇌사
의 판정도 질병의 종류나 진도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판정 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뇌종양 뇌외상 혈행 장애 등 뇌질환의 증상에서 보면 ①깊은 혼수, ②양쪽 동공의 퍼짐, 동공의 빛에 대한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개발돼 이 문제가 해결되고 있다.또 다른 문제는 이식에 필요한 신장의 공급이다. 최근
뇌사
의 인정으로 장기 제공의 기회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나 공급이 절대 부족한 상황이다. 그렇다고 하여 장기의 매매 행위를 허용해서는 절대 안된다 ... ...
생물- 하루 16톤의 혈액 펌프질하는 비결은?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심장 제공자가 완전히 숨을 거둔 뒤 24시간 내에만 기증하면 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뇌사
(뇌가 완전히 파손되어 소생의 가능성이 없는 상태)자의 장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기증된 장기를 보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적출된 심장은 40℃의 링거액에 넣고 조직 배양액 RPM1640 (각종 아미노산 ... ...
심혈관질환 연구의 메카 THI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기능을 돕는 것인데 심장이식을 받아야만 생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환자가 심장제공자(
뇌사
자 등)가 나올 때까지 임시변통으로 활용하기도 한다.현재 THI에는 외과의사 연구자 심장학자 마취학자 병리학자 등을 포함한 1백50여명의 전문연구자들이 재직중이다. 수석외과 의사는 덴톤 쿨리박사이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