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지상에 발을 디디고 살아가는 인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자신이 관찰한 것들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니까요. 대부분 인간은 태어날 때 갖고 있던 성별을 죽을 때까지 유지하고요. 다시 산호 이야기를 해보죠. 수백 년 전까지만 해도 산호는 식물로 분류됐습니다. 지상의 나무처럼 생겼다는 게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천체의 움직임을 제대로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행성은 바깥의 별을 기준으로 볼 때 시간에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는데, 가끔은 반대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기도 해요. 이것을 ‘겉보기 역행 운동’이라고 합니다.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원 모양 궤도로만 움직인다고 ... ...
-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수 있다. 2023시즌 KBO 구단별 기록을 스타 차트로 만들어봤다. 스타 차트는 한 점을 기준으로 변수의 개수만큼 축을 그리고, 변수 사이를 이어 만든 그래프다. 기록이 쌍둥이인 선수를 찾아라! 체르노프의 얼굴 야구 기록은 지표가 많아 한 선수를 다른 선수와 비교하기 쉽지 않다. 이럴 때 ... ...
- 전략의 신 1. 최강 타순인지 알려주는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우리는 1아웃에 주자가 3루인 상황에서의 상태 변화를 살펴보자. 동그라미 안에서 점을 기준으로 왼쪽 숫자는 주자 상황을 뜻하고, 오른쪽 숫자는 아웃 카운트다. 즉 123.1은 주자가 1루, 2루, 3루에 있고, 아웃 카운트는 1이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1아웃 3루에서 홈런이 나오면 득점이 2점 나오며, ... ...
- 전술의 신 3. 삼각형 패스 대형 짜기 생성나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를 ‘델로네 삼각형’이라고 한다. 대형으로 따지면, 선수를 나타내는 점이 기준점이고, 맡을 구역이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패스 경로가 델로네 삼각형의 변이다. 아래 그림은 FC 바르셀로나의 대형을 이용해 그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인데, 실선은 델로네 삼각형의 일부이다. 점선은 선수들의 ... ...
-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지점이 이 거리보다 가까우면 조준한 것보다 위에 맞고(1), 멀면 아래에 맞기 때문이다(2). 기준 거리보다 가까우면 조금 아래, 멀면 위를 노려야 한다. 결국 상대방과 나 사이의 거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은 지도에 있는 격자를 이용해 거리를 대략 알 수 있으니 이를 잘 ... ...
- [에디터 노트] 도파민도 인스턴트 시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분은 갸웃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지금 정규분포 중앙에 모인 평범한 ‘우리’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는 겁니다^^) 독서뿐만이 아닙니다. 건강한 음식, 공부… 몸과 마음에 이로운 것들은 대체로 중독이 잘 안 됩니다. 반면 소셜 미디어나 마라탕은 나도 모르게 중독돼 끊기가 어렵죠. ‘도파민 ... ...
- [기획] 소리보다 빠른 초음속 여객기 돌아올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4년 1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팜데일에서 바늘처럼 뾰족하게 생긴 비행기 한 대가 공개됐다. 비행기의 이름은 X-59,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조용한 초음속 기술(QueSST ... 항상마하1이초속 340m인 것은 아니다. 본문에 소개된 기체의 속도는 기체를 개발한 기업의 소개 자료를 기준으로 ... ...
- [한눈 과학] 3월⟶ 1월 봄 시작 당겨진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뒤 다시 내려가지 않는 첫날 시작된다. 21세기 후반 서울의 계절 길이SSP5-8.5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예측된 21세기 후반(2081~2100년) 서울의 계절길이다. SSP5-8.5 시나리오에 의하면 이 시기 여름은 전국적으로 약 5~7개월간 지속된다. 현재 약 2~4개월인 여름 길이의 두배 이상이다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과학자들이 혼란에 빠질 이유도 없었을 거다. 김 교수는 “그런데 GZK 반지름 안을 기준으로 살펴봤을 때 아마테라스 입자와 오마이갓 입자가 날아온 방향에는 아무것도 없었다”고 했다. 오 마이 갓. 거대한 블랙홀이거나,우주가 깨진 자리거나 (아직은) 아무도 모른다다시 논문을 살펴보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