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역
지역
블록
땅뙈기
간막이
구분
부분
d라이브러리
"
구획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키우고 완전히 제거하지도 못한다”고 말했다.참빗으로 머릿니를 제거할 때는 머리를
구획
으로 나눠 구석구석 빠트리지 않고 빗는 일이 중요하다. 종이를 바닥에 깔고 목덜미부터 시작해 정수리로 올라가며 빗어 내린다. 되도록 촘촘한 참빗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서캐는 크기가 작아 참빗으로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아프리카 케냐의 들판에서 생태연구를 하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들판을 나눠 한
구획
에 전기가 흐르는 울타리를 쳐 코끼리나 기린, 영양 같은 초식동물의 접근을 막았다. 그로부터 수년이 지난 어느 날, 팔머 교수는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구획
안의 아카시아가 주위에 비해 오히려 부실하고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가옥 한 채와 주변 또 이에 해당하는 넓이의 풀숲을 9개
구획
으로 나누고 불이 났을 때 확산되는 방향을 살폈다.그 결과 풀과 나무가 많은 숲에서는 이미 타버린 곳엔 불이 붙지 않아 산불이 한 방향으로만 이동한 반면, 가옥과 숲이 뒤섞인 곳에는 불이 나자 불에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매우 광범위하다.이제 전자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손톱만한 칩 위에 3만5000개의 세포배양
구획
을 설정하고 여기에 인간 유전자 3만5000개를 실어 완전 자동화한 맞춤형 유전자 분리기술 연구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다. 이 장치가 개발되면 짧은 시간에 수십 개의 연구를 동시다발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제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발이 불가피한 경우 경사지역 개발은 건축
구획
에 고층고밀 개발을 지양하고 저밀도 수준으로 이뤄져야 하며, 개별 건축물이 큰 간격을 가지면서 위치하도록 한다.특히 경사지에서 가로질러 길게 늘어서 있는 건축물은 근본적으로 경사지의 바람흐름을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다녔다. 칭화대는 이들을 본교출신으로 간주하고 있다.칭화대의 캠퍼스의 분위기는
구획
에 따라 많이 다르다. 서쪽의 교문을 통해 들어가면 오른쪽에 교직원용 아파트촌이 자리잡고 있다. 1980년대 우리나라 주공아파트촌이 연상된다. 그러나 왼쪽으로 길을 들어서면 연꽃이 피어있는 호수와 정자가 ... ...
2 말소리 죽이고 외부 빛 차단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낮은 수준이면 된다.따라서 클린룸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클린룸의 청정수준으로
구획
화할 계획이다. 연구자들은 클린룸 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유연한 연구환경을 누릴 수 있다.이와 함께 나노전자소자에서는 전자빔을 이용해 5nm급 회로를 구현해낼 전망이다. 이 공정기술은 진동에 매우 ... ...
석유 탐사 장치가 암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석유를 탐사하는 지질학자들과 이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 오만의 사막지대를
구획
별로 나눠 에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땅 밑에 석유가 묻혀 있다면 소량일지라도 에탄이 흘러나올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만일 이 방법이 성공할 경우 탐사에 드는 비용을 크게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격자)를 설정했다. 바다 속에 들어갔을 때 그리드 하나하나 별로 청자를 인양하기 위한
구획
틀인 셈이다.그러나 해저유물 인양은 어려움이 많다. 우선 가장 큰 어려움은 인양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돼있다는 점. 유물 인양은 만조와 간조가 멈춘 정조시간(停潮時間)에만 가능하다. 조수의 흐름이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지지를 받고 있다. 세르비우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나일강이 범람할 때마다 과거에
구획
된 토지의 경계를 알아낼 수 없게 되는 난처한 문제에 봉착했다. 이러한 경계를 정확히 찾기 위해 이집트인들은 모든 경작지를 선으로 구분하는 지혜를 발휘했다. 그런 과정에서 기하학이 생겼는데 그들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