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청
관가
기관
관공청
당국
정부기관
d라이브러리
"
관공서
"(으)로 총 5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항공에서 환경보호까지 세계 첨단기술 총집합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이의 관심을 끌었는데, 철로 만든 아치에 못쓰는 무전기 푸대자루 계측기 등과 함께 여러
관공서
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서명이 새겨진 장갑이 장식으로 사용됐다.한편 따로 전시된 나사의 우주왕복선 '앰배서더'도 많은 관람객들을 끌어모았다. 과거 소련과 우주공간에서 주도권을 다툰 바를 ... ...
한국 자생 식물 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모두 2백70여명에 이른다. 회원들은 농장경영인 대학원 예과·조경과 교수 사진작가
관공서
원예·조경담당관 대학원생들이 주류를 이루는데, 취미로 즐기는 이들도 다수 있다. 이들은 1년에 4회 정도씩 산행겸 탐사를 나간다.'우리꽃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회원'이 될 수 있는데, 가입금은 ...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잘 되지 않는다.파일 이름이나 디렉토리 이름을 지정할 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마치
관공서
에 가서 서류 떼기가 무척 까다롭듯 도스는 아무래도 만만치 않은 상대다. 도스의 이런 까다롭고 고지식한 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가 어렵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도스가 사용자에 대한 배려를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멀티미디어 제품을 일상적으로 대하게 될 듯하다. 학교 연구소에서 금융기관 및
관공서
에 이르기까지 멀티미디어가 사용됨으로써 서비스가 대폭 향상될 수있는 분야는 셀수없이 많다.그러나 멀티미디어는 수단일 뿐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는 없다. PC는 연구소의 대형컴퓨터를 개인의 책상위에 ... ...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하나그림 2.0'이 발표됐고 지난 4월에는 행정전산망용 표준 소프트웨어로 선정돼 학교나
관공서
에도 들어갈 수 있게 됐다.이름난 소프트웨어는 대개 기업체에 소속되지 않은 독창성이 강한 프로그래머에 의해 개발된다. 오히려 기발한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람이 이를 발판으로 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 ...
양구에서 농촌 컴퓨터교육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매년 여름 겨울방학을 이용해 실시되는 이 교육에는 양구지역 각급학교 교사와
관공서
직원, 주민 등 1백20명이 컴퓨터 기초교육을 무료로 받게 된다.이 교육은 지금까지 학교나 행정관서에 컴퓨터가 설치되어도 교육기회의 부족으로 이용률이 저조했던데 따른 것. 이번 교육에는 △컴퓨터개론 △MS ... ...
비디오·오디오·TV를 통합한 멀티미디어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등을 활용하면 훨씬 더 상대방을 설득시킬 수 있다.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프레젠테이션은
관공서
홍보물, 광고기획사의 광고물, 방송국의 컴퓨터 그래픽스 제작 등에 활용가능하다. 문화시설의 안내에도 효과적이다.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상품안내도 효과적이다. 고객에게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 ...
늘씬한 3W의 나라 칠레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이르면 얼음 덩어리가 불쑥 솟아오론 듯한 절경을 이루는 것이다.케나스에 맞춰 쿠에카를
관공서
나 회사 상가 등은 보통 아침 9시30분경부터 시작한다. 칠레 사람들의 일과중 흥미로운 사실은 오후 1시부터 3시경까지 긴 점심 시간을 갖는다는 점이다. 철저히 가족중심적인 그들은 점심을 집에서 ... ...
각광받는 AT기종 좀더 빨리,좀더 많이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보여진다.지난 82년 정부가 전국민의 컴퓨터 마인드를 확산시키기 위해 정부관련
관공서
와 학교 등에 5천대를 무료 보급한것이 대중화를 위한 첫발이었다. 그러나 그것도 한때의 붐을 이루었을 뿐 오랜기간을 지속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좀더 엄밀히 말하면 국내에 퍼스널 컴퓨터(개인용컴퓨터)가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해시계로서 5백년 동안이나 그 전통이 계승되었다. 궁궐이나
관공서
, 그리고 양반들의 집에서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그 모양의 아름다움과 해시계로서의 정확성, 그리고 시간을 알아보기 쉬운 점들이 조선시대 선비들의 마음에 들었던 것 같다.이 해시계는 정원에 설치해 놓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