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따라서 분석팀은 SNS에서 치킨 언급량과 날씨, 시가총액을 활용해 ‘치킨 지수’
공식
을 만들었다. 빅맥 지수, 스시 지수로 경제 엿본다 햄버거도 우리 생활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각 나라의 빅맥 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값을 ‘빅맥 지수’라고 한다. 세계 곳곳의 맥도날드 매장에서 ... ...
인간 나이로 몇 살일까?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나이를 넣으면 인간 나이로 환산해주는
공식
도 만들었다. 이
공식
은 래브라도 리트리버를 기준으로 만든 방정식이라서 다른 개의 인간 나이와는 다를 수 있다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9월에는 아이돌 아이브의 노래 ‘I AM’의 뮤직비디오를 로블록스 버전으로 만들었어요.
공식
뮤직비디오와 최대한 비슷한 느낌을 내면서 로블록스의 특색을 녹여 만든 덕분에 구독자들이 댓글로 좋은 반응을 보였던 기억이 납니다. 이뿐만 아니라 드라마 스토리를 직접 구성한 뒤 로블록스 드라마로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풀이된다. 시민들의 생각을 자세히 듣고 싶었다. 과학동아는 2023년 11월 27일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를 통해 일회용품 폐기물 문제에 관해 그간 궁금했던 점을 물었다. 독자들이 남긴 댓글을 살펴보면 일회용품에 대한 규제가 실제로 환경에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 궁금해하는 근본적인 의문이 ... ...
몇 번째 사귄 사람과 결혼할까? 비서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n명과 사귀고 현재까지 x명에게 퇴짜를 놨다면 결과가 어떨까? 최고의 배우자와 결혼할
공식
은 이다. 일반적으로 x가 n의 36.7%일 때, 정확히 말해서 x가 n/e일 때 최댓값이 된다. 여기서 e는 오일러의 수로, 약 2.718이다. 따라서 총 15명을 사귄다면 5명까지 사귄 다음에 지금까지 만난 사람보다 더 멋진 ... ...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파노프스키는 최적의 조리 시간을 계산하는
공식
을 만들었다. 그가 만든 식에 따르면 칠면조 구이는 163℃에서 시간 = 2/3×(무게)2/3을 만족하는 시간 동안 요리할 때 가장 맛있다 ... ...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이유는 피자의 넓이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피자(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
은 (반지름)2π로 피자의 반지름이 2배가 되면 넓이는 4배가 된다. 그런데 피자 체인점에서 내놓은 가격들을 살펴보니 라지 사이즈가 스몰 사이즈에 비해 더 비싸긴 해도 4배까지 차이 나는 곳은 없었다. 그러니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묶어 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한우 맛 등급 알려 주는
공식
도 있다! 어떤 소고기가 맛있을까? 보거나 만져 보고 알 수 있다면 좋겠지만, 먹어보기 전에는 알기 어렵다. 2010년 국립축산과학원은 소비자가 고기를 선택하는 데 도움주기 위해 소고기의 맛을 예측하는 수학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기록된 바 있지만, 그 이후에도 주로 보고된 것은 빈대종이었습니다. 반날개빈대는
공식
적으로 확인된 것이 2021년 12월 경기도 오산에서 채집된 기록입니다. 무려 90년 만이었습니다. 반면 2023년 발견되는 빈대들은 대부분 반날개빈대입니다. 반날개빈대와 빈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 교수는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왓슨과 크릭은 프랭클린의 DNA 구조에 관한 결정학 데이터가 없었다면 이중나선 모델을
공식
화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을 것임을 인정했다.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을 취재한 시사잡지 ‘타임’의 기자 조안 부르스 역시, X선 회절 분석을 통한 실험적 증거 수집 팀(윌킨스와 프랭클린)과 이론 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