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거
거주지
주거지
주소
주택
거처
거류
d라이브러리
"
거주
"(으)로 총 64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인공중력 도시 계획, 루나 글래스일본 건설회사 카지마 코퍼레이션과 교토대가 달, 화성
거주
시설인 ‘루나 글래스’ ‘마스 글래스’ 계획을 발표했다. 도시 전체를 회전시켜 인공중력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여기에는 대규모 토목 공사가 필요할 전망이다 ... ...
[인포그래픽] 달과 화성에 세워질 우주도시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주도의 우주 개발,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리면서 인간의 우주
거주
계획이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달을 시작으로, 화성까지. 또 다른 행성에서 살아가려면 여러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달과 화성의 환경,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미래 우주기술을 알아봤다. 아폴로 17호에 탑승했던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요즘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신경다양성’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신경다양성이 무엇인지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를 번역한 강병철 번역가 ... 대표.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소아과 전문의가 됐다. 현재 캐나다 밴쿠버에
거주
하며 번역가이자 출판인으로 살고 있다 ... ...
[SF소설] 나 홀로 지구에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민연애 마스터의 집으로 가라는 지시를 내리셨어요.』네르구이는 3년 전 죽은 프랑스에
거주
하던 몽골인이었다. 분명 그녀에게 로봇을 보내겠다고 했었는데 오지 않아서 오는 길에 사고가 났으려니 하고 잊고 있었다.“네르구이가 보내겠다고 한 건 펭귄이었는데?”민연애는 인간형 로봇을 ... ...
[화보] 인어와 함께 떠나요! 바다왕국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뜻해요. 그래서 제가 만든 조각품에는 각종 해양 동물들이
거주
지로 정착하곤 한답니다. Q 작가님의 작품을 보고 사람들이 무엇을 느꼈으면 하나요? 저는 바닷속 세계가 얼마나 중요하고 아름다운지를 보여주고 싶어요. ‘바다’를 떠올리면 우리 삶과 가깝지 않은 것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개발이 필요하다. 2019년 민간우주기업 블루 오리진을 이끄는 제프 베조스는 “지구는
거주
지로 남기고, 우주에서 필요한 물품은 우주에서 생산하겠다”며 중공업 공장을 우주에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유체망원경처럼 우주 공간에서 망원경을 만들 수 있는 또 다른 기술도 있다. 바로 3차원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한옥을 뚝딱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서양에서는 벽난로를 설치하여 방 안의 공기를 데워요. 그래서 바닥이 비교적 차가워
거주
인이 침대에서 자고 실내에서도 신발을 신지요. 반면에 한옥에서 주로 쓰는 난방 장치인 ‘온돌’은 바닥을 데워 방을 따뜻하게 만들어요.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주로 바닥에 앉아 ... ...
[특집] 거기 누구 없어요? 외계 생명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1972년 3월 2일 발사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파이어니어 10호가 올해로 발사 50주년을 맞았습니다. 초기 목적인 목성 탐사를 마치고 인류의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실은 채 황소자리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요.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지구로부터 약 195억 km 떨어진 우주를 날고 있습니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뜨는 성질이 생명 탄생에 큰 도움을 줬다고 말합니다. ‘골디락스 존’이라고도 부르는
거주
가능 영역은 행성의 표면에 물이 액체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해요. 중심별로부터 행성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온도가 높아서 물이 기화하고, 거리가 너무 멀면 온도가 낮아서 물이 얼어버립니다. ... ...
[통합과학 교과서] 지옥이 불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야쿠츠크도 영구동토층 지역의 건물 10%가 손상됐지요. 교수팀은 미래에 얼마나 많은
거주
지가 위험에 처할지 알아보기도 했어요. 온실기체를 줄이는 정책을 상당히 실현하더라도, 현재 북반구 영구동토층에 있는 사회 기반 시설의 70%가 2050년까지 녹을 가능성이 높은 영구동토층 주변에 있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