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홀수 제곱에 1을 더한 값은 항상 11의 배수다. 또 102 - 1과 같이 10의 짝수 제곱에서 1을 뺀 값도 항상 11의 배수다. 이 때문에 밑줄 친 부분은 모두 11의 배수다. 따라서 ABCD가 11의 배수가 되려면 홀수 자릿수인 A와 C의 합과 짝수 자릿수인 B와 D의 합의 차가 0 또는 11의 배수가 돼야 한다. 이 방법으로 ...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구해 보면 그 방법을 알 수 있다. 표를 보면 유독 17이 들어갈 때 최소공배수 값이 커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바로 17이 소수기 때문이다. 소수를 포함한 두 수의 최소공배수는 약수가 많은 수보다 최소공배수가 커진다. 교잡의 횟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그 교잡의 시기가 자주 돌아올수록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데 참고할 수 있을 거라 보고 빅맥 지수를 만들었다. 이 지표는 같은 물건은 어디서나 값이 같아야 한다는 ‘일물일가의 법칙’을 전제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화폐 가치가 적정한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빅맥 1개가 미국에서 3달러이고 일본에서 300엔이라 할 때 일물일가의 법칙에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이지요. 이렇게 에라스토테네스가 계산한 지구의 크기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값과 고작 2%밖에 차이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어요. 여러분이 지금 비행기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건 옛날부터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스토테네스 같은 학자들이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밝혀낸 덕이에요. ... ...
- 움직이는 만화, 애니메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움직이는 경로를 무수히 많은 점으로 나타내고, 그 점을 곡선으로 연결해서 컴퓨터에 값을 입력하면, 캐릭터가 움직이는 모습을 더 실감 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지요. 용어 설명경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갈 때 지나는 길을 말해요 ... ...
- [찰칵! 전시회] 신기한 숫자 식탁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1, 2, 3…. 이 숫자들의 이름은 ‘인도-아라비아 숫자’예요.우리는 인도-아라비아 숫자를 쓰지만, 전혀 다르게 생긴 숫자도 있지요.어떤 신기한 숫자들이 있는지, 맛있는 음 ... 이곳에서는 차림표에 적힌 가격도 모두 마야 숫자로 나타낸답니다. 핫 초콜릿 한 잔의 값은 과연 얼마일까요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류신 C6H12DNO2는 어떻게 측정될까요? 이 두 물질도 구조가 같아서 질량분석법에선 m/z 값이 모두 133.11입니다. 반면 탠덤 질량분석법은 두 류신의 파편 이온 속 동위원소의 질량 차를 이용합니다. 각 파편 이온의 m/z는 86.1, 87.1로 측정됩니다. 즉 우리는 탠덤 질량분석으로 이 둘의 혼합 용액에서도 그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수학자에게 가장 섹시한 수를 꼽으라 하면 단연 섹시 소수를 그 예로 들 것이다. 섹시 소수는 5와 11처럼 차이가 6씩 나는 ‘소수쌍’을 말한다. 대체 왜 ... 세르게이 코냐긴은 2018년 에 매우 큰 수 X에 대해 이웃한 두 소수의 차가 가장 큰 값은 아래 식보다 크다고 밝혔다 ...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방향으로 아주 아주 작게 움직였을 때 y축 방향으로 얼마나 변화했는지 알 수 있다. 이 값을 계산할 수 있을 때 ‘미분 가능하다’라고 한다. 그리고 끊어지는 부분 없이 손을 떼지 않고 그래프를 따라 그릴 수 있는 그래프를 ‘연속’이라고 한다. 미분이 가능하려면 반드시 연속한 그래프여야 ...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얼마일까? 1 - 1/(506)을 n번 곱한 것과 같으므로 {1 - 1/(506)}n이다. 이때 n이 100만이라면 이 값은 약 0.9999다. 즉 100만 마리의 원숭이가 6번의 입력으로 ‘banana’를 입력하지 못할 확률이 99.99%라는 뜻이다. 그런데 n이 100억이 되면 그 확률은 약 53%가 되고, 1000억이 되면 0.17%까지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