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1,67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01
- 면역 세포를 만들었고, 면역세포의 활동을 저해하는 단백질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한쪽 다리는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된 기계 의수로 대체했습니다. 그 모든 것을 기준 오빠의 의식을 깨우지 않은 채로 진행했습니다. 겪지 않아도 될 고통은 겪지 않도록요.마침내 오빠의 의식이 돌아왔을 때, 저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 도렘이 피안오’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악보를 뒤집어야 한다는 걸 알게 된 썰렁홈즈. 썰렁홈즈가 악보를 들고 뒤집자, 무대 한쪽에 있던 문이 스르륵 자동으로 열렸다. 그 안으로 들어가자 사방이 꽉 막힌 방이 나타났다. 벽에는 커다란 그림이 걸려 있었는데…. 그때 어디선가 “째깍째깍” 하는 소리가 들려서 자세히 보니, 벽에 걸린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01
- 요소는 주변 사람들의 행동입니다. 광화문 광장에서 갑자기 한 사람이 소리를 지르면서 한쪽 방향으로 뛰어간다고 생각해봅시다. 평소의 이성적인 나라면 뛰어온 곳을 쳐다보며 원인을 파악하고 가장 가까운 출구를 찾겠죠. 하지만 뛰어가는 사람이 둘이 되고, 셋이 되면서 하나의 장(field)을 이루게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01
- 현재 무선충전은 대부분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합니다. 전선 코일 두 개를 만들어 한쪽에 전류를 흘려주면 다른 코일에도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지요. 그런데 자기유도 방식은 자기공명 방식에 비해 무선충전 가능한 거리가 짧습니다. 고작 몇 cm에 불과합니다.2007년 미국 매사추세츠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영웅의 아들 제1화수학동아 l201701
- 방해해 폭탄이 엉뚱한 곳에서 터지게 했고, 폭발에 휘말려 희생됐다.여론은 순식간에 한쪽으로 쏠렸다. 다른 행성을 찾자던 사람들은 의견을 접고 몸을 낮췄다. 제다검은 우주선을 구한 영웅이 되었다. 아내가 임신 중이라는 사연이 드러나자 모두가 눈물을 쏟았다. 몇 달 뒤 제하림이 태어났을 때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24
- 뜻으로 변했답니다.‘균형’은 ‘할당할 균(均)’과 ‘저울대 형(衡)’이 합쳐져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고른 상태’를 의미해요.‘할당할 균(均)’은 ‘흙 토(土)’와 ‘고를 균(勻)’이 더해져 만들어졌어요. ‘고를 균(勻)’은 ‘열흘 순(旬)’과 ‘둘 이(二)’가 합쳐졌지요. ... ...
- [가상 인터뷰] 돌도끼를 만드는 원숭이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석기 총 111개를 모았답니다. 전체 석기들의 평균 크기는5cm 정도였으며, 그 중 약 54%는 한쪽 면이 날카로운 돌도끼 형태였어요.연구팀은 이 석기가 약 250만에서 170만 년 전의 구석기인들이 만들어 사용했던 ‘올도완’과 비슷한 날카로운 면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답니다. 돌도끼를 사용하는 모습을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인기를 끌었던 모바일 증강현실게임 ‘포켓몬고’와 같은 원리랍니다.“우와~! 우와~!”한쪽에서 관객들이 함성이 쏟아져 나왔어요. 함성 소리를 따라 가 보니 분자요리사인 최상현 셰프가 분자요리를 만들고 있었어요. 기자단은 최상현 셰프과 함께 망고 노른자와 과일맛 캐비어, 물방울 떡, ...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말밤]10월에 가로수가 늘어선 거리를 걷다 보면 밤과 비슷하게 생긴 열매를 볼 수 있어요. 한쪽은 뾰족하고 다른 쪽은 둥그런 모양에 짙은 갈색을 띠는 열매로, 밤과 거의 똑같이 생겼답니다.이 열매는 ‘칠엽수’라는 나무의 열매로, ‘말밤’이라고도 불러요. 예전에 말이 숨을 헐떡일 때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모양이 달라지고, 이 모양에 따라 단층을 분류해요.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받으면 한쪽 땅이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가며 두 땅이 사선 모양으로 어긋나요. 이걸 ‘정단층’이라고 하지요. 반대로 양쪽에서 미는 힘을 받으면 한 땅이 다른 땅 위로 밀려 올라가는 ‘역단층’이 생겨요. 한편 땅이 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