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리안
투견
투시력
천리
d라이브러리
"
투시
"(으)로 총 109건 검색되었습니다.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06
지구의(地球儀)에 접하도록 원뿔을 씌운 후 시점(視點)을 지구의의 중심에 두고 경위선을
투시
하여 전개한 도법이다 일조시간이 짧은 계절에 번식활동이 활발한 동물 면양 · 산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동물의 광주기성(光週期性) 때문이며 연간 일조시간의 길고 짧음이 ... ...
지구 수호자에서 이웃집 청년까지, 슈퍼영웅
과학동아
l
200305
07시리즈에 등장하는 슈퍼카를 능가하는 다양한 장치를 갖고 있었다. 점프는 물론 건물을
투시
할 수 있는 레이다와 화염 방사기 등을 장착한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강력한 매력은 운전자와 유머를 주고받을 수 있을 정도의 인공지능이었다.키트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에어 울프는 기관포와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03
책으로 출간했다 엄밀하게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
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12
나타납니다.이는 한때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
투시
카메라’와 원리가 같습니다.
투시
카메라는 적외선을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앞에 가시광선 차단 필터를 끼우면, 옷의 색을 나타내는 가시광선은 렌즈 앞에서 차단되고 옷을 통과해 피부에서 반사된 적외선만 감광 센서에 잡혀 영상으로 ... ...
1. 최근 학력 파괴 경향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11
인류에게 이익이 된다. 가장 두드러진 사례를 X선의 경우에서 볼 수 있다. X선은 강력한
투시
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 능력 때문에 예를 들어 우리 몸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돼 의학적으로 큰 기여를 했던 것이다.반면 새로운 이론은 자주 나타나는 것이 아니며 발견되더라도 ... ...
과학 입고 싸운다 군복
과학동아
l
200210
늘어났다. 이 때문에 위장복을 염색하는 물감도 단지 육안으로 봤을 때뿐 아니라 야간
투시
경으로 봐도 위장효과가 있는 특수한 재질을 사용한 종류까지도 등장했다. 한때는 적외선이나 레이더 전파의 반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투복을 다리지 말라는 지시가 여러나라 군대에 내려진 일도 있을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10
지구의(地球儀)에 접하도록 원뿔을 씌운 후 시점(視點)을 지구의의 중심에 두고 경위선을
투시
하여 전개한 도법이다 일조시간이 짧은 계절에 번식활동이 활발한 동물 면양 · 산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동물의 광주기성(光週期性) 때문이며 연간 일조시간의 길고 짧음이 ... ...
X선 구조분석학 미시 세계 영화처럼 보여주는
투시
기술
과학동아
l
200209
분야에서는 선구자가 되겠다는 강한 의지가 중요 하다는 설명이었다.제교수는“X선
투시
현미경 기술과 같은 구조분석학의 발전은 무엇보다도 나노 소재 개발에 커다란 기여를 한다”며“첨단 나노소재 개발의 성패가 구조를 얼마나 정확히 밝혀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땅속
투시
기술로 지진피해 줄인다
과학동아
l
200205
지난 3월 31일 대만에서 리히터 규모 6.8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 정도면 원자탄 8개가 동시에 터진 위력과 맞먹는다. 그런데 인명피해는 사망자 5명에 3백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을 뿐이다. 한편 이보다 앞선 3월 25일 아프가니스탄에서도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런데 사망자수는 무려 3천여명으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04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오모양, 백모양의 몰래카메라 사건과 여름철 수영장에서의
투시
카메라 사건도 알고 보면 1백여년 전에 X선을 둘러싸고 한바탕 홍역을 겪었던 일들이다. 최초의 몰래카메라 시조는 X선의 발견으로 연결된다.뢴트겐이 1895년 X선의 발견을 논문으로 발표하자마자 영국잡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