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록빛"(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폰 화면이 피부 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앞으론 피부를 통해 스마트폰 화면을 볼 수 있을지도 몰라요. 최근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연구단 현택환 단장과 김대형 연구위원팀이 스티커처럼 피부에 붙일 수 있는 얇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거든요. 이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약 2.6㎛(마이크로미터, 1㎛는 1m의 100만분의 1) 정도로, 머리카락 두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10
- 예루살렘은 고대 이스라엘의 다윗 왕이 기원전 10세기에 수도로 정한 이래, 수천 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역사 도시다. ‘준비된 평화’라는 뜻의 이름과 달리 알렉산더제국, 로마제국, 오스만제국 등 주인이 수없이 바뀌며 지금까지 분쟁의 역사 한가운데 놓여 있다. 또한 기독교, 유대교, 이슬 ... ...
- [Photo] 초록빛 납 광물 녹연석과학동아 l201509
- 운명이 달라졌다. 요즘 주목받고 있는 '생명체와 광물의 상호 진화이론'이다. 사진의 초록빛 광물, 즉 납의 원료 광석인 녹연석도 이런 과정을 통해 태어난 젊은 광물이다. 중국 광시자치지역의 다오핑 광산에서 채취됐는데, 납의 원료로 쓰기에는 너무 아까워 수집용으로 살아남았다. 녹연석은 매우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사람은 ‘시각 포식자’◀ 사람이 보는 모습(위)과 고양이가 보는 모습(아래). 고양이는 야행성이라 낮에는 사람보다 시력이 떨어진다. 처음 보는 사람에게 내 가족을 소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자신의 아빠를 같은 반 친구들에게 소개한다고 생각해 보세요.“아빠는 키가 크고,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09
-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 (명)’태양계 행성 8개의 이름은 우주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일반인들도 정확히 외우는 상식이다. 하지만 이런 행성들의 특징을 세 가지만 꼽아보라고 한다면? …. 수억~수십억km 떨어진 우리의 이웃(?) 행성들은 이렇게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다. 그래서 준비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09
- ‘해바라기’는 네덜란드 화가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7점의 연작이야. 초기에는 해바라기가 2~6송이 꽂혀 있는 모습을 그렸지만, 나중에 그린 그림에서는 꽃이 12송이 또는 15송이나 되지. 이뿐만 아니라 색채와 형태도 더욱 과감해져. 해바라기가 마치 샛노란 태양이 이글거리는 듯이 보이거든. 전 ...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어두운 밤에 책을 읽을 수 있을 정도로 밝은 빛을 내는 버섯이 있어요. 바로 브라질의 코코넛 숲 속에 사는 네오노토파누스 가드네리(Neonothopanus gardneri)이지요. 우리나라에선 주로 ‘야광버섯’, ‘귀신버섯’이라고 불린답니다. 그동안 귀신버섯이 왜 밤에 빛을 내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어요. ... ...
- 광물이야기04 - 남동석(Azurite) 아주리 군단의 푸른 태양과학동아 l201506
- 남동석은 오직 이곳에서만 발견된다. 남동석은 공기 에 몇 백 년 노출되면 사촌 격인 초록빛 공작석(Malachite)으로 바뀐다. 이 때문에 남동석 광물로 푸른 물감을 만들어 사용한 르네상스 시대의 명화들이 초록색으로 변색되기도 했다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05
- “미모와 젊음은 시들어도 다이아몬드는 영원히 빛을 발하네. 내 친구는 다이아몬드뿐~. 티파니! 까르띠에!”파리 환락가의 한 여가수와 젊은 극작가의 사랑을 그린 영화 ‘물랑루즈’에서 주인공 샤틴(니콜키드먼 분)이 부르는 노래다. 가사가 이미 말하고 있듯, 다이아몬드는 수많은 여성들의 영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05
- 분리해낼 수 있다.그러나 새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갔다. 새의 망막에는 빨강, 파랑, 초록빛 외에도 자외선을 흡수하는 광수용기가 한 종류 더 있다. 지난해 12월 11일자 ‘사이언스’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새들은 진화과정에서 옵신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에 아미노산 서열 변화가 일어났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