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수"(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초파리 정자는 슈퍼파워♥과학동아 l201607
- 정자는 성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정자왕답다.※매력 지수 계산식 : log(성특성 부위의 크기)/log(몸집). 성특성 부분의 크기가 몸에 비해 얼마나 큰지 종마다 계산했다. 값이 클수록 성특성 부위가 중요하고, 이것을 급격히 키우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뜻이다 ... ...
- [과학뉴스] IS 온라인 선전 활동 분석 첫 공개과학동아 l201607
- 0만 개의 링크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여성 이용자들의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지수가 남성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매개 중심성은 연결망 내에서 한 점이 다른 점들 사이에 위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값이 클수록 중재자로서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여성 이용자들이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07
- 아리스메티카의 8번 문제인 피타고라스의 정리(x2+y2=z2)를 보고 있었다. ‘여기서 지수를 3 이상으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라는 발상이 페르마를 사로잡았다. 그는 피타고라스의 방정식을 변형했을 때 이를 만족시키는 정수해가 없다는 사실을 증명한 뒤 8번 문제 밑에 휘갈겨 적는다. 여백이 좁아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05
- 은 모두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읽기 기술은 2000년 초반부터 지수곡선 형태로 급격히 발전한 반면, 쓰기 기술은 합성할 수 있는 염기쌍 수가 여전히 1차 함수 형태로만 늘고 있다.문제는 정확성이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현재 화학적 합성으로는 염기 100개 마다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05
- 길었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점심식사를 16분 이상 들여 먹는 대학생이 체질량지수와 체지방이 적은 경향을 보였다. 식사를 느리게 하는 편이 건강에 더 좋다는 의미다.같은 조사에서 대학생들은 혼자 밥을 먹을 때 단점으로 ‘식사를 대충하게 된다’(36.1%), ‘인스턴트 식품을 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차가운 기운에 노출됐을 때,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기며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예요. 체감온도는 단순히 기온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정해지는 건 아니에요. 기온뿐만 아니라 바람이나 습도, 햇빛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런 요소들을 고려해 계산하지요.일반적으로 체감온도는 여름에는 ... ...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과학동아 l201604
- SCI)에 등재된 소아과학, 아동건강 분야 학술지 중 가장 높은 피인용지수(IF)를 자랑한다. 최근 5년 IF는 4.152로 높은 편에 속한다.주로 아이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의학적 요인을 다룬 연구가 실린다. 아동학대에 대한 유명한 연구결과도 다수 실렸다. 학대를 받은 아이들이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 ...
- [과학뉴스] 피지컬 리뷰 레터스 (Physical Review Letters, PRL)과학동아 l201603
- 강호 학술지기 때문이다. 1958년 미국물리학회에서 처음 발간했다. 2014년 기준 피인용지수는 7.512로 영향력이 매우 큰 편이다.피지컬 리뷰 레터스는 중력파와 질긴 인연이 있다. 1936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논문을 게재하려고 시도한 곳이 피지컬 리뷰 레터스의 전신이자 ... ...
- [과학뉴스] 자외선 차단과 비타민D 합성을 동시에!과학동아 l201603
- 합성을 저해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미국 보스턴대 마이클 홀릭 교수팀은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유지하면서도 비타민D 합성에 도움이 되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했다.비타민D는 피부 세포의 콜레스테롤유도체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7-DHC)에서 태양빛을 받아 만들어낸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를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03
-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p가 어떤 수든 무조건 이 소수인 건 아니었다. 메르센은 지수 p가 소수일 때 이 소수가 된다고도 생각했다. 그러나 p가 소수인 11일 때는 11-1=2047이고, 2047은 23×89로 소인수분해가 되는 것을 알게 됐다. 즉 이때는 소수가 아닌 것이다. 소수의 규칙은 쉽게 찾아지지 않았다.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