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인 외국인
미국인
잉글랜드사람
잉글랜드인
신참자
양키
잉글랜드 사람
d라이브러리
"
영국인
"(으)로 총 147건 검색되었습니다.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여성과 상반되는 결과를 보인다. 1998년 영국의 세인트앤드루스대 데이빗 페렛 교수는
영국인
과 일본인의 얼굴을 대상으로 남성의 얼굴은 더욱 남성적으로, 여성의 얼굴은 더욱 여성적으로 만든 뒤 어떤 경우에 매력적으로 보이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여성은 여성화시켰을 때 더 매력적으로 보인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11
오차가 컸다. 해상의 흔들리는 배에서 이뤄진 천체 관측 결과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인
존 플램스티드는 달의 운행을 이용하면 경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달의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절대시간과 관측지점의 지방시 차이로 경도를 구할 수 있다는 계산이었다.시계 ... ...
오늘의 건강을 예보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0604
기대감도 커서 행복해진다. ‘월요병’이 없는 금요일은 행복감이 가중된다. 실제로
영국인
의 3분의 1은 계절성 증후군(SAD)으로 불리는 겨울철 우울증을 앓고, 10명 중 9명은 겨울철에 더 자고 더 먹는다고 한다. 겨우내 짙은 구름에 덮인 모스크바에도 ‘극지방 히스테리’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03
비교적 비가 충분히 내렸고 그렇게 심한 가뭄은 없었다.1901년 우리나라에 다녀간
영국인
앵거스 해밀턴의 ‘한국’(Korea)이라는 여행기에는 조선 말기인 1884년부터 26년간 계속된 가뭄으로 굶주림과 전염병이 만연된 비참한 우리 역사가 생생하게 기술돼 있다. 조선 말 같은 극심한 가뭄은 당장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02
치유효과를 얻는 사례도 보고됐다. 지난 1월 1일 SBS의 ‘개가 사람을 살린다’에서는
영국인
알렌의 사례를 소개했다. 해군으로 복무하다 전쟁에서 다리를 잃고 기억상실과 언어장애를 겪던 알렌은 ‘엔돌’이란 골든 리트리버와 생활하면서 증세가 크게 호전됐다. “평생 말하지 못할 것”이라는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11
억제제 등을 꾸준히 복용하면 십이지장 궤양의 대부분은 치료할 수 있다.현재 미국인과
영국인
에서 분리한 두 균주의 유전체가 해독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경상대 의대 연구진을 포함한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이 헬리코박터 두 균주의 DNA 염기쌍을 완전 해독해 한 단계 높은 연구가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10
계기를 마련했다.레일리는 아르곤을 발견하고 그 성질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4년
영국인
으로서는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레일리는레일리는 1842년 영국 에식스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존 윌리엄 스트럿인데 1873년 아버지가 죽자 조부 때부터 이어온 귀족의 작위를 받아 레일리 ... ...
헤르츠의 전파검출 실험
과학동아
l
200507
그의 실험이 낯설었고, 그의 발견은 영국에서 먼저 인정받았다. 맥스웰의 추종자였던
영국인
올리버 헤비사이드는 1891년 “3년 전까지 전자기파는 어디에도 없었다. 그러나 잠시 후 그것은 어디에나 있었다”라며 헤르츠의 발견을 높이 평가했다.재 현 실 험헤르츠의 전파 실험이 더욱 빛을 발하게 ... ...
B형 남자는 바람둥이?
과학동아
l
200412
같다. 중국인은 O형이 42%로 가장 많지만 북경 지역 중국인은 B형이 32%로 최고다.반면
영국인
은 O형이 47%, 프랑스인은 A형이 47%로 가장 많다. 유럽인은 동양인보다 B형과 AB형이 매우 적은 편이다. 유럽에서는 ‘B형 남자’가 살기 어려운 어떤 원인이 있었을지도 모른다.현대아산병원 혈액은행에 따르면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06
해협을 통한 바닷물의 이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는 내용의 석사논문을 발표했다.이어서
영국인
보우덴이 1953년 2월부터 1954년 6월까지 도버해협에서 해저 전화케이블을 이용해 측정한 전압에서 해수의 규칙적인 흐름인 조류성분을 확인함으로서 측정전압과 수송량 사이에 비례하는 관계가 있다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