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화"(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07
-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인간의 줄기세포가 다른 동물의 배아 안에서 다른 조직으로 분화하거나, 혹은 다른 기관에(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돼지의 뇌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런 문제를 의식해서인지 인간-돼지 배아를 대리모의 자궁에서 28일간만 성장시킬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07
- MER-A)은 화성에 흐르는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화성 구세프(Gusev) 분화구에서 약간의 침철석을 발견했다. 침철석은 지하수나 저온 열수용액(마그마가 식어서 광물들이 석출되고 남은 수용액)의 산화대에서 생성되기에, 과거 화성에 물이 흘렀음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가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연구팀은 고해상도 구조를 활용해 지카를 잡을 수 있는 항체를 연구 중이다.범행 수법 : 분화 중인 피질세포만 노린다마지막 퍼즐은 범행 수법이다. 지카바이러스가 유산이나 소두증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통계적으로 확인됐다. 최근에는 실험쥐에서도 지카바이러스가 발생을 억제한다는 결과가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06
- 064).바타챠르야 교수는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여러 가지 단어의 소리 변화는 마치 DNA의 분화처럼 독립적이지 않다(not independent)”고 설명했다. 소리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진화한다는 뜻이다. 간단하게(?) 모든 영어와 라틴어 단어에서 소리변화를 네트워크로 구조화한다면 f에서 p로의 변화가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6
- 선임연구원은 “전세계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줄기세포 분화 기술을 이용해 인간 정상 간세포의 약물대사 기능을 온전하게 구현한 사례는 없다”며 “줄기세포를 이용해서 만든 간세포가 기능이 떨어지는데, 현재 그 이유를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안전성평가연구소 ... ...
- [과학뉴스] 불의 고리과학동아 l201605
- 그런 틈새로 마그마가 분출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아소산에는 마그마가 뿜어져 나오는 분화구가 이미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일본 당국은 아소산을 주의 깊게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우연은 언제든 반복될 수 있고, 우리는 그것이 언제 닥칠지 알 수 없으니까요 ... ...
- [과학뉴스]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나눈 건 Y염색체 유전자?과학동아 l201605
- 네안데르탈인이 분화된 까닭을 Y염색체에서 찾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대 유전학과 페르난도 멘데즈 연구원팀은 스페인 엘 시드론 지역에 4만9000년 전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남성의 Y염색체를 분석한 결과, 현생인류와 다른 네 가지 유전자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들이 네안데르탈인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05
- 황석연: 줄기세포는 세포와 세포 사이, 세포와 기질 사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아 분화합니다. 이게 미세환경입니다. 미세환경을 만들려면 생체 내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스캐폴드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을 사용하면 세포와 기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실제와 유사하게 만들 수 ... ...
- [과학뉴스] 후천적 비만의 원인, 단초 밝혔다과학동아 l201605
- 절반가량 적다는 데 착안해 S6K1의 새로운 역할을 연구하던 중, S6K1이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wnt’ 유전자를 메틸화해 발현을 막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wnt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면 지방세포 수가 늘어나 비만으로 이어진다. 이 연구는 생물학 학술지 ‘분자세포’ 4월 14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다운증후군 뇌기능 저하 메커니즘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1604
- 분석했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신경아교세포의 일종인 희소돌기 아교세포의 분화가 정상인에 비해 늦고, 그로 인해 ‘미엘린’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엘린은 뇌 신경세포를 둘러싼 백색 지방질 물질로, 신경세포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보호해 정보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