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d라이브러리
"
병원체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산호가 아픈 이유 알아 내
수학동아
l
201005
온도가 높아지면 산호에 사는 유익한 박테리아가 스트레스를 받아 산호를 병들게 하는
병원체
로 바뀐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연구자들은 물의 온도를 달리하여 박테리아의 움직임을 살펴보았습니다. 실험결과 물의 온도가 차가워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박테리아가 변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02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지방 제공자에 대한 엄밀한 건강 검진과 제조 과정에서
병원체
제거작업이 필수”라고 말한다. 또 동물에서 추출한 각종 첨가물질을 세포 조작 및 배양 과정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인수공통 전염병을 전파할 우려도 제기된다.식품의약품안전청은 ... ...
날씬한 몸매 가진 해면의 비결
과학동아
l
200912
“해면은 다량의 바닷물을 흡수한 뒤 그 안에 있는 미생물을 걸러먹기 때문에 독소나
병원체
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체내에 독소를 남기기 않기 위해 깃세포를 빠르게 증식시키는 동시에 떼어내 버리는 것 같다”고 해석했다.연구진은 이런 현상이 해면 전체의 일반적인 현상인지, 특정 종만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11
분비해 킬러 T세포와 B세포의 활성을 증대시킨다.킬러 T세포는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해
병원체
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거나 식균작용으로 항원을 직접 제거한다(세포성 면역). B세포는 항체를 분비해 항원의 활성을 저해한다(체액성 면역). 이때 조절 T세포는 이런 면역 과정을 적절히 조절한다.백신 ... ...
국내 하나뿐인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09
거의완공돼 이제 소독하는 단계만 남았다.‘SPF(Specific Pathogen Free)’는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
가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는 뜻. 어미돼지의 자궁 속과 비슷한 환경이다. 모든 물품이 소독돼 들어오고, 공기 정화장치가 24시간 돌아간다.지노가 이런 환경에서 살아야 하는 이유는 돼지의 장기를 사람에게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09
조절해 수십nm의 파장을 만들어 물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인플루엔자의
병원체
가 바이러스로 밝혀진 것도 전자현미경 덕분이다. 그럼에도 전자현미경은 많은 한계가 있다. 영상을 얻으려면 진공이 필요하고 시료도 고체여야 하기 때문이다.따라서 가시광선으로 이런 인위적인 조작 ... ...
만성 바이러스 질환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06
세포 속에는 리보솜에서 만들어진 생체 단백질(자기 단백질)이 대부분이지만 외부
병원체
가 생산한 단백질도 있다. 예를 들어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바이러스는 세포 안에서 원래 없던 바이러스 항원 단백질을 만들어 증식해 다른 세포와 조직으로 퍼진다. 자기 단백질과 항원 단백질은 ... ...
팬데믹 막는 역학조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06
것보다 훨씬 크게 나타난다.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가 가능한 세균성 이질과 같은
병원체
라면 2차 감염 때문에 봉우리 수는 더 많아진다. 이럴 경우 접촉 전파의 특성도 알 수 있다. 2차 감염의 경우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시간은 그 질병을 일으키는 균이나 바이러스의 세대기와 일치한다. 만약 ... ...
침투이론
과학동아
l
200905
질병확산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모자이크처럼 여러 작물을 교대로 심어
병원체
가 경작지 전체로 침투하는 걸 막거나 늦출 수 있다. 최근에는 질병 전파 뿐 아니라 동물의 행동 양식을 설명하는데도 침투이론이 쓰인다.메뚜기는 타고난 수학자?가끔씩 해외뉴스를 보면 메뚜기가 구름처럼 떼를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진핵생물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지름 0.2㎛인 필터를 통과하기 때문에 ‘여과성
병원체
’라고도 불린다. 그만큼 크기가 작고 세포막이 없기 때문에 세포도 아니다. 유전물질인 핵산(DNA 또는 RNA)과 이를 감싸는 단백질로 이뤄진 입자다. 바이러스 게놈이 담고 있는 유전자도 10여 개 내외다. 숙주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