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d라이브러리
"
박사 학위 논문
"(으)로 총 46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01
박사
와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가 1977년 함께 쓴
논문
에서 처음 제안했다. 애초 두 사람은 윔프가 아주 ... 만에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그로부터 2년 뒤,
박사학위
를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연구원신분이었던 한국인 물리학자 김진의
박사
(현재 경희대 석좌교수)가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액시온이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12
잡고 협박을 했다. 제1저자로 진행하고 있던
논문
에서 내 이름을 빼고 동시에
학위
를 주지 않겠다고 했다. 그래도
박사
진학을 거부하자 “극단주의자”, “인간말종” 등 험악한 말들이 쏟아졌다.내가 연구를 하는 이유를 곱씹어봤다. 과학을 정말하고 싶었던 이유는 ‘행복하기 위해서’였다.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12
이어 오하이오주립대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를 받았어요. 강의를 하면서
박사
과정까지 수료했죠.유학 생활 당시 조국의 ... 그래서 답을 적어 그 사람에게 편지를 보냈죠.
논문
도 대신 내달라고 부탁했어요. 어떻게 하면 학술지에 글이 실리는지 전혀 몰랐거든요.친절하게도 에 제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
과학동아
l
201511
중성미자를 관측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박사학위
를 받았고, 데이비스 교수는
박사
논문
심사위원 중 한 분이었다. 누구보다 이들의 업적을 가까이서 지켜본 셈이다. 당시 중성미자 물리학은 아직 미완성이었고, 더 많은 노벨상 업적이 기대되는 분야였다. 대표적인 난제가 바로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10
주전공인 ‘버섯에 사는 딱정벌레’로
논문
을 내는데, 그동안 애벌레버섯과 등 7개 과(科)를 ... 생물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2008년 곤충학
박사학위
를 받았다. 주류학계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연구를 늦게 시작하다보니 처음부터 교수가 될 생각을 안 했다. 학교에 얽매이지 않으니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10
가지다.엄상일 교수(이하 엄) : 포커라면 이승진
박사
의 전문분야다. 미국에서
학위
를 딸 때 취미삼아 포커 공부도 많이 했다고 한다 ... 이러다가 해답을 찾으면 그게 바로
논문
이 되는 거다.송 : 이 정도 했으면 독자들도 우리를 인정해줄 것 같다. 웃자고 시작한 일을 죽자고 달려드는 여러분이 ...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
과학동아
l
201510
당시 케임브리지대에서 압두스 살람의 지도로
박사학위논문
을 쓰고 있던 로널드 쇼가 양-밀즈 이론과 거의 비슷한 형태의 이론을 만들어
학위논문
에 포함시켰다는 사실이다. 안타깝게도 로널드 쇼의 연구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이후 전자기력과 약한 핵력을 통일한 전자기약력의 이론인 글래쇼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09
위해 프랑스 수학자 앙리 르베그는 1902년 그의
박사
학위
논문
에서 ‘측도(measure)’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했다. 측도란, 특정 부분 집합에 추상적으로 ‘크기’를 부여하는 함수다. 예를 들어, 유리수와 무리수들의 집합의 ‘길이’를 측도로 정의할 수 있다. 르베그는 측도로부터 적분을 새롭게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08
2003년 미국 버지니아대 의대에서 면역학으로
박사학위
를 받았다. 2011년 노벨상을 수상한 미국 록펠러대 ... 연구 경험을 쌓았다.도 교수가 이번에 발표한
논문
역시 수지상세포와 관련된 분야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의 한 종류가 또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08
베타(β)-감마(γ)의 말장난에 안 맞는다는 이유로
논문
의 저자에서 빠지고 말았다.앨퍼와 허먼으로서는 무척 화가 나는 일이었지만, 이 주제로
박사학위
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교수가 바로 가모프였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실상 우주 핵생성 문제를 푸는 데 가모프는 거의 도움을 주지않았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