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스페셜
"
측면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테스트, 어떻게 이루어지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대비하여 결정권자과 보고루트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는가와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측면
을 확인한다. 5가지 분야 내에 다시 여러 가지 상세평가가 포함되므로 실제 테스트 항목은 매우 많다. 각각의 상세평가를 마친 후에는 외부 전문가들의 검증이 이어지며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추가적인 조사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실험심리학과 찰스 스펜스 교수는 ‘다중감각적 풍미 지각’이라는 글에서 맛의 이런
측면
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앞 문장에서 쓴 풍미와 맛 모두 영어 ‘flavor’의 번역어로 넓은 뜻에서의 맛이다. 좁은 뜻, 즉 미각을 통한 맛은 ‘taste’다. 예를 들어 ‘매운맛은 ... ...
사물과 사물이 소통한다, 사물인터넷!
KISTI
l
2015.03.17
멕시코시티의 범죄율은 2009년 이후 32%나 드라마틱하게 줄었다. 치안을 강화해서, 아니면 법이 엄격해져서일까. 그도 아니면 CCTV 설치 지역을 대폭 ... 해커들에 의해 사고가 유발되거나 새로운 피싱이 발생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부정적인
측면
도 공존하므로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연구에 대해 “암 발생이 임의로 일어난다는 사실이 두려운 일일수도 있지만 긍정적인
측면
도 있다”며 “암환자 대부분은 운이 없었던 것일 뿐이므로 암에 걸린 게 자신들의 탓이 아니라는 위안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암 발생 대부분은 진화의 부작용일 뿐 필자가 보기에는 참신한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나중에서야 그 부작용과 해악을 깨닫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치듯 윤리를 논한 것이다. 그런
측면
에서, 로봇기술이 재앙을 몰고 오기 훨씬 이전에 로봇윤리를 정립하려는 현재의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제 인류는 ‘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날 때를 맞았다. 마침 올해는 영화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엑스 마키나’가 개봉된 2015년 현재도 여전히 현실성이 없는 공상의 영역이지만 다른
측면
에서 나름대로 진실을 담고 있다는 생각도 든다. 소설이나 영화에 나오는 로봇보다 성능(외모와 지능)이 한참 떨어지는 휴머노이드라도 사람들의 정서를 건드릴 수 있는 단계에 와 있기 때문이다. ●로봇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무리수의 불가피한 등장을 얘기한다. 필자는 수학에 소양이 없지만(과학의 언어
측면
에서 수학을 약간 공부한 정도다) 수학처럼 고도로 논리적 영역에서 아름답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들이 꽤 된다는 사실이 신비롭기만 한다. 변의 비가 3:4:5인 황금비 직각삼각형도 그런 예다. 서로 나란한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기술적
측면
에서 다차원 분광학을 다룬 반면, 자신의 책은 좀 더 이론 쪽에 가까운
측면
에서 다차원 분광학의 원리를 조명했다고 밝혔다. "저 나름대로는 다차원 분광학을 모르는 대학원생이나 이 분야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기본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주는 이론을 완성했다고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방안을 고민했다. 조 씨가 제시한 해결책은 건물 사이에 부는 측풍과 고층빌딩의 넓은
측면
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활용하는 것. 도시의 환경을 오히려 장점으로 삼는 발상의 전환이 돋보였다. 함께 우수상을 받은 경희대학교의 강지훈, 설미연 씨 팀은 폐기물 처리장을 기피시설이 아닌 선호시설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언어와 연속성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새의 지저귐과 사람의 말이 비슷한
측면
이 많다고 주장했다. 말러는 1966년 록펠러대로 자리를 옮겼고 1972년 부설 생태학/동물행동학현장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기도 했다. 1989년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로 자리를 옮긴 말러는 1994년 은퇴했다. 1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