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쇠
신장
key
방향타
자물쇠
몸집
풍채
뉴스
"
키
"(으)로 총 1,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 오작동 우려?...“크리스퍼는 과대평가됐다” 영국 연구팀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07.17
크리스퍼-캐스9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것이다. 코식
키
박사는 “쥐와 사람 모두에서 표적 염기쌍에서 수 천개의 염기쌍만큼 떨어진 유전자 부위에서 문제가 나타났다”며 “세포 종류와 고치고자 하는 유전자에 따라 크리스퍼 캐스9의 오류율이 다 다르다”고 설명했다 ... ...
TV 인터뷰를 방해한 고양이
팝뉴스
l
2018.07.16
꼬리고 얼굴을 가리는 등 훼방을 놨기 때문이다. 사진 속 남자는 예르지 타르갈스
키
. 폴란드의 정치학자인 그는 네덜란드 TV와 인터뷰 중이었다. 고양이가 인터뷰를 방해하자 이 정치학자는 난감해하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다. 고양이를 꼬리를 손으로 치워 드러난 얼굴에는 미소가 가득했다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탑승형 두발 로봇’ 실용화된다면… ‘아바타’
동아사이언스
l
2018.07.14
두 팔까지 장착한 휴보 FX-2를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 때 공개한 바 있다. 이런 로봇들은
키
2미터 남짓으로 메소드나 영화 속 AMP슈트 보다는 작지만, 사람을 태우고 두 발로 걷는다는 점에서 유사한 기술로 구분한다. 실제로 KAIST 휴보 연구팀에서 2005~2006년 사이 FX-1을 개발했던, 김정엽 서울과학기술대 ... ...
중국에서 210만 년 석기 발견...‘아시아 최초의 인류’ 정설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플로레스인)이 등장하며 더욱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드마니시인과 마찬가지로
키
가 1m 남짓에 두뇌가 침팬지 수준의 인류로, 왜소하고 두뇌가 작은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1만 km 이상 떨어진 동남아시아에까지 퍼져 있었을 가능성까지 등장한 것이다. 이번에 212만 년 전 석기가 중국에서 ... ...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02
모습.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3호 제공 최웅 연구원의 설명을 들은 지사탐 대원들은
키
보다 훨씬 큰 채집망을 든 채 잎사귀와 꽃 하나하나를 꼼꼼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곤 곤충을 발견하면 채집망을 식물의 가지 아래에 두고 톡톡 쳐서 그곳에 붙어 있던 곤충을 채집망 안으로 떨어뜨렸다. 그뒤 ... ...
비밀투표 보장하는 블록체인 선거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1
마친 투표정보를 다시 암호화해 블록에 넣는 것까지 고려하면 총 4~5초 이내로 단축시
키
는데 성공했다. 오 교수는 “투표를 누르고 4~5초는 기다려야 그 정보가 입증돼 완료되는 것”이라며 “올해 안에 이 과정을 1초 이내로 빠르게 처리하는 기술을 확보해, 비밀보장형 블록체인 선거 시스템의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방사화학실험실’이라고 불리는 이런 재처리 시설이 북한 핵시설 해체의 ‘
키
(key)’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서 부장은 “강한 방사선을 내는 사용후핵연료와 플루토늄을 직접 처리하는 시설”이라며 “모든 북핵 시설 중에서 방사선 준위가 가장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용후핵연료 ... ...
“내 남자 친구는 거인이에요”
팝뉴스
l
2018.06.10
수도 없는 덩치다. 위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공개한 켈시 헨슨이 비욘슨의 여자 친구다.
키
가 157cm이다. 둘이 함께 사진을 찍으면 엄청난 덩치 차이 때문에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끈다. 이들의 사진은 어떤 장벽도 넘어서는 사랑의 힘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소모량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사진 GIB 제공 앞서 남녀의 평균 뇌 크기 차이와 평균
키
차이가 비례관계에 있는 현상도 대사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즉 여성의 덩치(몸무게)가 20% 정도 작은 상태에서 비싼 조직인 뇌의 용량도 12%쯤 작게 진화한 게 아닌가 한다. 설사 뇌가 클수록 IQ가 ... ...
유방암 치료에 희소식...면역항암제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6.05
22주 뒤에는 방사선 진단으로는 흔적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사라졌다. 연구팀은 자하라
키
스 연구원은 논문에서 “유방암 환자들을 치료할 새로운 면역항암요법이 등장했다”며 “좀 더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